[학술논문] 國語學 硏究의 변화에 따라서 國語學의 下位 領域도 점차 細分化되었고 硏究 主題도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기 때문에 國語學의 體系도 傳統的인 分類에서 벗어나 새로운 領域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國語學을 포함하는 硏究分野를 體系的으로 나눈 것은 韓國硏究財團(舊 學術振興財團)의 硏究分野 分類體系가 유일하였지만 지난 2008년 국가과학기술 표준분류체계의 全面 修正으
...主題도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기 때문에 國語學의 體系도 傳統的인 分類에서 벗어나 새로운 領域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國語學을 포함하는 硏究分野를 體系的으로 나눈 것은 韓國硏究財團(舊 學術振興財團)의 硏究分野 分類體系가 유일하였지만 지난 2008년 국가과학기술 표준분류체계의 全面 修正으로 人文社會科學 分野가 추가되면서 두 체계가 현재까지 함께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硏究 分類에 대한 改正의 意見이 늘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標準 分類와의 연계성, 硏究 分類의 連續性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분류 체계의 필요성이 이 課題의 출발점이 된 것이다. 이런 점에서 國語學 分野의 下位 領域을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現行 分類 體系를 批判的으로 검토하고 외국의 分類 體系를 분석하였다. 우선 ‘個別 言語名+學問 分野’라는...
[학술논문] 한국현대소설과 로컬리즘
...되어왔다. 한반도 각 지방의 로컬리티가 가진 개별성을 파악하고, 로컬리티가형성된 배경을 추정하고, 그것이 소설로 형상화되는 양상을 밝히는 연구는한국현대소설과 로컬리티와 관련한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될 것이다. 한국현대소설을 중앙과 지방으로 나누어 살피는 지방문학 연구는 한국현대소설과 로컬리티와 관련한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이는 중앙 문단 중심으로 연구되어 온 연구 태도를 반성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지방문학으로 분류되어 소홀히 취급했던 작가․작품을 발굴하여 학계에 소개하고 평가하는 일은 한국현대소설을 풍성하게 하고, 한국현대소설 연구의 새로운장을 마련하게 해 줄 것이다. 지방문학에 관한 연구는 그 의의에도 불구하고 중앙 문단과 지방문학을중심과 주변의 관계로 두고 대립적으로 바라본 그간의 시각을 벗어나야 할것이다....
[학위논문] 통일교육 연구동향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정치적 상황과 정권의 정책에 따라 영향을 받고 있음을 정량적으로 증명하였다. ‘민족’, ‘학교’, ‘평화’, ‘기독교’ 등의 키워드의 등장은 각 시기의 특징을 집약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통일교육연구의 양적 팽창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통일교육 연구 주제의 다양화는 미흡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다양한 사회과학 연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통일교육연구에 새롭게 도입하여 학술지 논문 제목 및 초록까지 교차 분석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특징이 있다. 또한 그간의 통일교육연구의 성과를 텍스트 분석적인 통계로 제시하여 계량적인 변화추이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학술논문] 텍스트 분석 기법을 활용한 DMZ 연구 동향 분석
...동향을 빈도 분석, 언어 네트워크 분석, 토픽 분석 등 텍스트 마이닝 방법을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한국학술지인용색인으로부터 274편의 논문 초록을 추출하여 관리・활용, 생태・환경, 정치・제도의 세 연구 분야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전체 논문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한 빈도 분석에서는 DMZ, 비무장, 평화, 접경, 통일. 지역, 공원, 남북등이 핵심 단어로 추출되었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 DMZ라는 단어를 제외하면 관리・활용 분야에서는 ‘관광’, 생태・환경분야에서는 ‘분류’, 정치・제도 분야에서는 ‘북한’이 가장 중요한 단어로 분석되었다. 토픽 분석 결과 관리・활용 분야에서는 교육, 교류, DMZ 의미, 관광 등이 토픽으로 도출되었고...
[학술논문] 북한 내과 학술지 논문에서 다루어진 질환들의 분포
...‘내과’ 2006년 1호부터 2015년 3호까지 게재된 전체 논문 2,092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과 빈도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내과에서 다루어진 연구 분야와 질환들의 분포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논문들에서 핵심 정보 3개 항목들-내과 분과명, 질환명, 제6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표의 대분류 코드-과 기타 정보 3개 항목들-서지정보, 연구종류, 고려의학여부-을 추출하여 교차 검토 후 자료화 하였다. 내용적으로 내과 분과에 해당하는 논문은 2,092건 중 1,392건이었고 기초의학, 가정의학과 마취통증의학을 포함, 기타과로 분류할 수 있는 논문은 700건이었다. 내과 분과에 속한 논문들은 소화기, 순환기, 호흡기, 신장, 내분비 순으로 많았고 기타과에서는 신경과가 가장 많았다. 질환별 분석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