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애정과 영웅- 황건의 [행복]의 창작과 평가의 부침에 대한 연구 -
...행복의 의미를 드러낸 문제작이다. 1950년대 초반에는 ‘애국주의나 영웅주의’를 바탕으로 하여 ‘내면 세계의 추구’라는 점을 강조한 반면, 1950년대 중반 이후에는 내면 세계의 강조에서 ‘당’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평가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조선 문학 통사(하)』(1959)에서 『행복』에 대한 평가가 사라졌던 것이, 『조선문학사(1945~1958)』(1978)나 『조선문학개관(2)』(1986), 『조선문학사(11)』(1994)에서는 복원된다. 여기서 『조선문학사(1945~1958)』나 『조선문학개관(2)』에서는 인민군 용사들의 투쟁과 애국심, 대중적 영웅주의를 형상화한 성과작의 하나로 ‘주인공의 성장’에 맞춘 평가가...
[학술논문] 창조품과 기성품 -황건의 「불타는 섬」의 창작과 개작에 대한 연구-
...축소하고 동지애를 중심으로 한 영웅주의 또는 대중적 영웅주의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작된다. 그런 반면 유일사상체계가 성립된 후 1970년대 이후 판본은 남한이나 외국의 흔적을 지우면서 ‘위대한 수령님께서 마련해주신 조국’과 같은 표현을 추가하여 김일성을 정점으로 한 북조선 중심의 역사를 창출한다. 즉, 이 작품은 영웅주의 또는 대중적 영웅주의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1950년대 판본의 개작이 이루어진 반면, 유일사상체계가 성립된 후 판본에는 김일성을 정점으로 한 북조선 중심의 역사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일부 수정된다. 따라서 이런 개작 문제는 북조선 체제가 문학에 요구했던 사항을 점검할 수 있는데, 황건의 「불타는 섬」은 1950년대 중반 영웅주의나 대중적 영웅주의를 강조했다는 것을 말해주며,...
[학술논문] 동요동시집 『영웅 나라 아이들』의 애국주의 전쟁기 북한 어린이문학 연구
...시집이다. 이 글은 그 속에 담겨 있는 사회주의 애국주의 주체 의 구성 양상과 표현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목표로 이루어졌다. 그 일을 위해 시집에서 미리 네 묶음으로 작품을 묶어 놓은 배열의 정치에 주목하여 네 가지 하위 담론 주체를 읽을 수 있었다. 첫째 수령에 대한 무조건적 충실성으로 무장한 수령주의 주체, 둘째 일선의 전투 영웅을 본받아 헌신하는 영웅주의 주체, 셋째 후방의 증산 투쟁에 앞장서서 노동 영웅으로서 이바지하는 집체주의 주체, 넷째 지원군에 대해 친선․우의를 다하는 국제주의 주체가 그것이다. 작품들은 그러한 네 하위 실천적 주체에 대한 동일 담론을 반복하는 외곬로만 주체화하고 있다. 아울러 표현 또한 그러한 주체 구성에 효과적으로 이바지하기 위한 언어 유도 현상을 보여 준다. 내포적 우리와 ‘원쑤’...
[학위논문] 북한 역사소설 연구
...이론적 기초가 마련되는데 항일혁명투쟁 시기를 강조하고 북한이 주장하는 불후의 고전적 명작인 <불멸의 역사>와 <불멸의 향도> 총서 등이 등장하기에 이른다. 이 시기에는 사회 정치적 생명체가 문학의 형상 원칙이 될 것을 강조하고 어버이로서의 수령 창조를 주요 문학의 과제로 삼았다. 또 한편으로는 대중적 영웅주의인 숨은 영웅 형상을 창조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 시기 작품의 종자에 대한 올바른 이해도 요구되는데 종자는 작품의 핵으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기본 문제, 형상의 요소를 뿌리 내릴 바탕이 있는 생활의 사상적 알맹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 역사소설에서는 종자로써의 주제 · 작가의 역할 · 시대 배경 · 공산주의 인간형...
[학술논문] 중국과 일본에서 저술된 한국현대문학사의 한국전쟁 인식과 문학사 기술양상 -허쩐후아의 『조선현대문학사』와 사에구사 도시카쓰의 『한국문학을 맛보다』를 중심으로-
...『조선현대문학사』는 한국전쟁에 대한 중국의 기본인식이 충실히 반영된 문학사로, 기본적으로는 북한문학사의 시기구분과 주제 분류에 바탕을 두면서도 주체사상에 기반한 유일사상체제와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중조우의(中朝友誼)’를 내세운 국제주의적 친선과 ‘항미원조전쟁(抗美援朝戰爭)’으로서의 한국전쟁의 위상, 인민대중의 혁명적 영웅주의와 애국주의를 강조하는 입장을 취한다. 즉 한국전쟁에 있어서 중국과 북한의 정치적 결속 및 역사적 상관성, 한국전쟁에서의 중국의 역할을 의식적으로 강조함으로써, 북한문학사를 중국인민의 입장에서 조망하고 그 근접성과 교차점을 모색하려는 노력이 뚜렷이 표출된 문학사이다. 다음으로 사에구사 도시카쓰의 『한국문학을 맛보다』에서는 한국전쟁에 대한 심도 있는 성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