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56년 북경 작가출판사에서 출판한 「춘향전」의 번역양상에 대한 고찰
본고는 1956년에 북경 작가출판사에서 출판한 중국어판 「춘향전」의 번역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에는 「춘향전」의 소설 번역본과 희극(戱劇) 개작본이 각각 6종류씩 있는데, 그 중에 1956년 역본은 중국대륙에서 나온 최초의 소설 번역본으로 이 글의 연구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1956년 역본의 저본은 북한의 「춘향전」이고, 북한의 「춘향전」은 직ㆍ간접적으로 성적인 표현을 다룬 부분이 모두 삭제되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한국에서 볼 수 있는 완판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의 내용과 같다. 1956년 역본은 북한과 중국 양국의 원어민 번역자가 합작한 역본이다. 그러나 두 번역자가 모두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북한 번역자인 빙울(氷蔚)은 훌륭한 번역자이지만 고전작품을 해독하는 일에는 다소 부족한 점이
[학술논문] 남북한 조선왕조실록 번역 비교 - 『현종실록』을 중심으로 -
...문장과 어휘의 번역 사례를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번역의 가장 큰 원칙은 남한과 북한 모두 실록의 원래 형태를 유지했다는 점으로, ‘수정실록’이나 ‘개수실록’도 별도의 실록으로 인식하여 원형대로 번역하였다. 몇 개의 주제로 나누어 번역 사례를 추출하고, 이를 어휘와 문장, 전문 어휘, 주석, 오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번역문에서 드러나는 가장 큰 차이점은 한자와 한자어의 사용이다. 남한 번역은 국한문 혼용을 원칙으로 고유명사, 역사 어휘 등에 한자를 병기하고 한자어도 빈번히 사용하였다. 반면 북한은 쉬운 말로 번역한다는 원칙 아래 고유명사 등에도 한자 병기를 전혀 하지 않았으며, 역사 어휘 등도 가능한 쉽게 풀어 썼다. 이로 인해...
[학술논문] 한반도 SF의 유입과 장르 발전 양상 -구한말부터 1990년대까지의 남북한 SF에 대한 소사(小史)-
...이룩하기 위해 실질적인 근대화의 모델이었던 서구화, 그 중에서도 동아시아권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받아들이려 했던 과학(科學)을 이식하기 위한 도구로 SF가 활용되었다는 것을 밝혔다. 이후 남한에서는 아동・청소년에게 역시 과학에 대한 정보를 학습시키기 위한 교보재로 정체성이 확립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공상과학소설(空想科學小說)이라는 오역이 오래도록 유지되면서 형성된 스테레오 타입 때문에 명확한 비평을 거치지 못하고 문화예술의 변방에 위치하게 된다. 북한에서는 국가가 주도하여 장르에 대한 정립을 꾀하지만, 사회주의 리얼리즘이라는 경직된 방법론의 적용과 장르적 특성을 심도 있게 변용하지 못하는 아쉬움을 남기면서 결국 소재와 주제, 세계관과 구성방식에서 도식화된 작품들을 양산해 내는 한계를 보인다...
[학술논문] 국내 개그 유튜브 콘텐츠의 북한 재현 특성 ― 유튜브 채널 ‘피식대학’, ‘고농축’을 중심으로
이 연구는 국내 개그 유튜브 채널에서 북한을 소재로 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개그 유튜브에서 재생산되는 북한이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을 소재로 다룬 대표적인 개그 유튜브 채널 ‘피식대학’과 ‘고농축’의 콘텐츠를 분석하였다. 두 콘텐츠에서는 북한어의 의도적 왜곡과 언어유희를 통해 의도적으로 오역하거나 문법의 과잉적용을 통해 웃음을 유발시키려는 특징이 나타났다. 콘텐츠에서 나타나는 맹목적인 자본주의 추종은 탈북민들이 자신의 사상에 대해 의심받지 않고 정체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행위임과 동시에 북한을 열등한 존재로 전락시키는 장치로 활용된다. 또한 소음검열의 편집방식은 개그소재로 부적합하고 위반 대상이 된다는 것을 인지하면서도 의도적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학술논문] 한중번역 실제와 분석 -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 북한어 어휘를 중심으로 -
...‘속담’ 등과 같이 번역자가 드라마의 의미 전달이 가능한 경우에는 ‘등가’ 번역기법을, 문화적 차이로 인해 중국어로 대체할 만한 단어가 없는 경우에는 ‘직역’ 의 번역기법을 사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사랑의 불시착>에 반영된 번역기법은 원문에 충실해야 하는 번역의 기본 원칙 및 영상 자막번역의 가독성, 경제성을 고려한번역으로 파악되었다. 현재 한중 영상자막 번역 분야의 경우 번역 오역 문제가 양산되고있어 영상자막 번역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 영상물 장르 및 번역이론에 대한 전문지식구비, 해당 분야 어휘 및 영상 맥락 의미 파악을 위한 사전 공부 등 영상번역 번역자를 위한 전문적·체계적 번역시스템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