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한국을 위한 남북한 음악교육의 비교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한의 음악교육을 비교하여 통일한국사회의 음악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탐색하는 것이다. 남북한 음악교육의 공통점은, 남북한이 민족주의교육과 전인교육을 추구하고, 음악교육에서 인간의 가치 있고 보람 있는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는 기초지식과 능력을 키워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차이점으로는, 남한은 민주주의 교육이념을, 북한은 사회주의와 주체사상을 이념적 기초로 수령과 당에 충직한 공산주의 혁명가를 양성하는 데 둔다. 또한 음악형식에 있어 우리는 유절가곡 형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북한음악의 기본형식은 절가형식으로 완결된 선율이 반복되면서 가사 내용의 변화발전에 따라 형상이 전개되어간다. 인성교육에 있어서 우리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방법에 의하지만, 북한은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학술논문] 남북한 교과서 전문용어 통일기준 위계 연구
... 없다는 것에서 약점이 있다. 실증적 근거는 남한어와 북한어에서 공통적으로 선정한 전문용어를 찾아서 그것과 경합한 용어들과 비교하며 선정에 적용된 기준의 빈도를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남한어에서는‘투명성>고유성>경제성>친숙성>일의성ㆍ일관성>국제성’ 순으로, 북한어에서는 ‘친숙성>투명성ㆍ고유성ㆍ경제성ㆍ일의성ㆍ일관성> 국제성’ 순으로 나타나고, 이는 논리적 근거를 통한 위계와 거의 일치하였다. 이 두 가지 근거에 따라서 본고는 ‘① 투명성 ② 경제성, 고유성 ④ 친숙성 ⑤ 일의성 ⑥ 일관성 ⑦ 국제성 ⑧ 문법성 ⑨ 생산성 ⑩ 윤리ㆍ미학성’의 위계를 설정한다. 이 위계에 따라 기준을 실제 남북한통합 용례에 시험적으로...
[학술논문] 남북한 간호학용어의 비교분석
... 일본어 잔재를 몰아내려는 노력으로 남한은 ‘영어식 외래어’를, 북한은 ‘러시아식 외래어’를 도입하여 남북한 용어의 이질감이 고취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북한의 자료 수집에 대한 어려움으로 연구에 제한점이 있었으나, 남한과 북한의 간호학 용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 하는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으며, 추후 연구를 통해 북한의 최근 간호용어와의 비교연구 뿐 아니라 간호학 교과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를 시행하여 남한과 북한의 이타성과 다양성을 인정하는 간호학분야의 세계시민성 강화를 위한 노력을 제언한다.
[학술논문] 신년사로 본 김정일· 김정은의 대남인식과 대남정책 비교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시말해 권력을 승계받은 김정은이 대남한에 대한 인식정도와 긍정적인 남북관계, 부정적인 남북관계에 있어서 어떠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향후 대남관계에 있어서 어떠한 공격적인 성향을 나타낼 것인지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가늠해 보고자한다. 본 분석 결과의 요약은 김정일보다는 김정은이 남한에 대해 부정/긍정적인 용어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긍정적인 관계도 많았지만 이에 못지않게 부정적인 관계도 많았음을 알 수 있다. 김정일 시대에는 긍정인식이 높아지면 긍정 관계가 많아지는 등 어느정도 상관성을 가지고 있으나 김정은시대에는 긍정인식이 높아지면 긍정관계가 줄어들고 부정인식이 높아지면 부정관계가 줄어드는(단, 통계적으로 유의성없음) 상관성으로 나타나지만 긍정관계는 물론 부정관계가...
[학술논문] 한국과 일본의 탄도미사일 방어(BMD) 추진 비교
...회피하였지만 일본은 적극적으로 추진하였기 때문이다. 이제 한국은 지금까지 견지해온 한국의 접근방법이 잘못되었음은 인정하고,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을 있는 그대로 또는 미래에 대두될 위협의 정도와 형태까지 예상하여 심각하게 인식해야하고, 일본처럼 미국과의 긴밀한 협력체제 구축에 노력해야 한다. 북한의 핵위협에 관한 한·미·일 정보공유 약정을 맺은 것처럼 효과적인 BMD 구축을 위해서는 일본과의 협력도 제외해서는 곤란하다. 그리고 미국 BMD 참여라는 일부 시민운동가들의 프레임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고, 특히 ‘한국형’이나 ‘MD'라는 용어부터 변경하여 "탄도미사일방어“나 ”BMD" 등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