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동하는 북한 여성의 원거리 모성: 친밀성의 재구성과 수치심의 가능성
이 글은 이동하는 북한 여성의
모성을 친밀성과 수치심이라는 두 개의 키워드를 통해서 분석한다. 1990년대 중반 북한의 식량난을 기점으로 북한 여성의 역할은 전통적인 ‘어머니(mother)’에서 ‘가족부양자(breadwinner)’로 변화되었다. 본 글은 중국과 한국으로 이주해 온 북한 여성이 공간적 거리와 합법과 불법의 경계를 어떤 방식으로 넘나들며, 자녀와의 친밀성을 재구성하는지 살펴본다. 이동하는 북한 여성과 본국(혹은 제3국)의 자녀 사이에는 초국적 연결망이 촘촘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방식의 ‘
모성’, 즉
원거리
모성 실천을 구성해낸다. 하지만 전통적
모성이데올로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북한 여성은 공간적으로 자녀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