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의 핵억제 전략 최적화 연구, 2012-2024 -전망이론의 분석틀을 중심으로-
...2012년 이후 북한의 핵억제 전략을 네 시기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첫 번째 시기(2012-2017)는 ‘위험감수적 핵무기 개발 전략’ 시기로, 북한은 초기 핵억제력 확보를 준거점으로 설정하고 연이은 핵실험과 ICBM 시험발사를 통해 기본적 핵능력(Capability) 구축에 주력했다. 두 번째 시기(2018-2019)는 ‘
위험
회피적
전략국가 인정 전략’ 시기로, 북한은 의사전달(Communication) 강화를 통해 미국과의 협상으로 전략국가로서의 인정과 제재 해제를 시도했다. 세 번째 시기(2020-2022.9)는 ‘위험감수적 반격능력 확보 전략’ 시기로,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 실질적 핵억제력 확보를 새로운 준거점으로 설정하며 전술핵 개발과 다층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