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교과서 전문용어 통일기준 위계 연구
...있다는 점에서 강점이 있지만, 고유성과의 충돌ㆍ국어화된 발음ㆍ용례의 한정 등의 약점이 있다. 일관성과 국제성은 경우에 따라 상위 위계에앞설 수 있다는 특성을 갖는다. 생산성은 기초 용어로서 다른 용어를 파생시킬 수있다는 강점이 있지만, 고유성과 충돌하고 일관성과 겹치거나 충돌하고 생산성이많은 구성 성분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 약점으로 꼽힌다. 윤리ㆍ미학성은저속한 용어를 삭제하고 미학이 느껴지는 용어를 권장한다는 측면에서 강점이 있지만, 실제 통합 작업에서는 거의 변별력이 없다는 것에서 약점이 있다. 실증적 근거는 남한어와 북한어에서 공통적으로 선정한 전문용어를 찾아서 그것과 경합한 용어들과 비교하며 선정에 적용된 기준의 빈도를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남한어에서는‘투명성>고유성>...
[학술논문] 남북한 전문용어 통합 기준에 관한 연구 - 초ㆍ중등 교과서를 중심으로 -
... 체계와 용어의 체계가 일관된 방식으로 대응된 용어가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국제성이란, 국제적으로 널리 쓰이는 용어가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문법성이란, 형태론적, 통사론적, 음운론적 규범을 따르는 것이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생산성이란, 더 많은 단어를 생산해 낼 수 있는 구성 요소를 가진 용어가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친숙성이란, 일반적으로 알려진 전문용어가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윤리ㆍ미학성이란, 비속의 내용이 들어가 있지 않은 것과 더 미학적으로 곱게 다듬어진 내용이 들어가 있는 것이 우선시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각 기준이 각각 남북한 교과서 전문용어 통일 작업을 수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과 각 기준을 실례에 적용할 때 가정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식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