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위성을 이용한 백두산 및 한반도 주변 활화산 활동 감시 시스템 구축 필요성
백두산과 더불어 한반도 주변에는 활화산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들 화산 분화 시 화산재가남한지역 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약 1,000년 전 분화한 백두산의 화산폭발지수는 7에 해당하며, 분화 당시 화산체 주변에 엄청난 피해를 입혔을 것으로 추측되며, 분화에 의해 발생한 화산재가 일본까지 확산되었다. 그리고 여러 최근 연구에 의해 백두산 폭발 시 화산재가 남한지역 및 일본에까지 확산될 수 있음도 밝혀졌다. 이러한 심각한재해의 위험성을 갖고 있는 백두산 화산지역에서 2002-2005년 사이 다시 화산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분화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었다. 하지만 지정학적인 위치에 따른 접근의 비용이성 그리고 백두산에 인접한 중국, 북한 두 국가의 타 국가에 대한 백두산 관측정보 제공
[학술논문] 인공위성을 이용한 백두산 하부 마그마 활동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및 가능성
백두산은 1000 AD 경에 매우 강력한 화산 폭발을 하였으며 아직도 폭발 가능성을 가지고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의 백두산의 지역에서 일어나는 화산활동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진한 상황이다. 그 이유는 백두산이 중국과 북한에 걸쳐 분포하고 있어 접근이 어려울뿐 아니라 북한 정부는 물론 중국 정부도 한국 지질학자들의 백두산에 대한 연구를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그 결과 백두산 화산 작용을 연구하기 위하여 백두산 지역에 정기적인 감시 시설을 설치하거나, 정기적인 관측 자료를 얻는 것이 매우 힘든 상황이다. 특히 중국과 북한은지하 핵 실험에 대한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국내학자들에게 화산 활동 예측에 중요한지진 자료 확보를 허락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인공위성을 이용한 백두산 화산 폭발 가능성에대한 정기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