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냉전의 대리전으로서의 6·25와 〈광장〉 - 중립국 위원회의 실질적 부재
...〈광장〉을
6·
25 시기 중립국 선택 포로에 대해 국제사회에 책임의 문제를 제기한 1950-60년대 국제정세 비판소설로 재독한다. 냉전이데올로기는 미·영·프·소·중 등 강대국 정치의 산물이었고, 냉전 이데올로기를 강대국들은
6·
25라는 대리전으로 격화시켰다. 그렇기에
6·
25를 적확하게 증언하는 서사는 한반도 영토 내부만이 아니라, 외부까지도 탐색해야 한다. 기존의 〈광장〉에 대한 연구는 남북한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액자-안-서사에만 천착해왔으나, 본고는 〈광장〉의 액자-안-서사와 액자-밖-서사를 통합적으로 고찰할 때 그 의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입각점에서 서술되었다. 〈광장〉의 액자-안-서사는
6·
25 이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