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도 시각이미지 분석에 따른 한국의 국가이미지 측정
...긍정적인 국가이미지의 중심 요인이며 영향력 있는 분야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북한에 대한 보도 이미지가 전체 35.7%로 국제사회에서 북한은 여전히 관심 대상국이며 국제관계 형성에 중요한 상대임을 알 수 있다. 경제, 사회, 외교의 상징적 이미지뿐 아니라 대중 문화인과 스포츠 선수 또한 국가 상징으로 한국의 국가이미지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11 F1 코리아 그랑프리 대회는 선진 스포츠 문화 강국으로 평가 받으며 이미지 변화 가능성과 긍정적인 국가이미지 형성의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분석 대상 이미지 중 단 1건 뿐으로 언론보도에 효과적 역할과 영향성에 기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문매체에 보도된 시각이미지를 통해 국외에서 바라보는 현시점의 국가이미지 단면을 볼 수...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정착기간과 국가이미지의 관계: 남한 학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착기간에 따른 대한민국 국가이미지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남한 학력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대한민국 국가이미지 인식이 대한민국에 대한 그들의 신념과 태도, 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보고, 북한이탈주민의 대한민국 국가이미지 특성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이탈주민 40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국가이미지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국가명성지수(CRI)를 적용하였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국가이미지의 6개 하위요소 중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정착기간과 리더십 소구 관계에서만 남한 학력의 부분적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에 입국하여 이곳에서의 학력이 높아질수록 국가이미지 하위요소 가운데 리더십 소구는...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대한민국국가이미지분석
...연구는 대한민국 국가이미지에 대한 북한이탈주민의 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대한민국 국가이미지 인식이 대한민국에 대한 그들의 신념과 태도, 행동을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보고, 북한이탈주민의 대한민국 국가이미지 특성이 무엇인지 분석하기 위해북한이탈주민 40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국가이미지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국가명성지수(CRI)를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이탈주민의 대한민국 국가이미지는 평균 3.7707로 보통(3)보다 높게 나타났다. 북한이탈주민 집단 내에서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은 연령과 남한에서의 학력에 따라 대한민국 국가이미지 평가가 가장 크게 달라졌으며, 모든 하위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국가이미지 하위요인 중 리더십...
[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의 대한민국 국가이미지
... 대한민국 국가이미지 특성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이탈주민 40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국가이미지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국가명성지수(CRI)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3단계로 구성되었다.
1단계로 북한이탈주민의 대한민국 국가이미지에 대한 인식이 다른 집단의 대한민국 국가이미지 인식과 어떻게 다른지 파악하기 위해 남한주민, 외국인, 이주민의 대한민국 국가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남한 출신 한국인들은 대한민국에 대한 자긍심을 갖고 있으며 그 배경에는 빠른 경제 성장과 선진국 진입이라는 현대사가 존재한다. 또한 국가이미지 하위요소 가운데, 기술력, 문화 콘텐츠 등 비교적 대외적 홍보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학위논문] 제한적 목적지 이미지의 다차원적 접근 모델 : 북한관광 빅데이터 사례를 중심으로
...관계성에 따라 이미지를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제한적 목적지의 관광이미지를 이해 또는 측정하기 위해서는 범주화된 이미지 간의 관계성을 분석할 필요도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넷째, 선행연구에 의하면 동기(motivation)은 관광이미지를 형성하거나 의도를 발생하는 선행변수 또는 결과변수로 이해되며, 관광객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관련성을 해석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한다. 또한, 심리적인 요인인 동기를 이미지 형성의 핵심 요인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동기를 목적지 이미지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차원으로 해석하고 궁극적으로 동기를 유발하는 이미지차원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Push-Pull 이론에 기초하여 동기를 촉진하는 이미지 측면에서 추진 동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