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대한민국 근현대사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만든 〈대한민국 사회 교과서〉. 대한민국 탄생과 발전에 관련된 중요한 사건들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도록 집필하였다. 학생들이 나열된 과거의 사건을 단순히 암기하는 데 그치지 않고 깊이 있게 생각하도록 구성하였다. 건국의 이승만 대통령과 부국의 박정희 대통령을 비롯한 역대 대통령들의 업적을 풍부하게 포함하고, 이병철과 정주영을 비롯한 탁월한 기업가들의 업적도 폭넓게 담고 있다.
[정치/군사]
북한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 해설서!
냉전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북한의 핵 프로그램은 어떤 메커니즘과 전략으로 가동되어 왔으며,
이에 따른 대외관계는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
북한을 단순히 군사적 위협의 대상이나 냉전 시대의 유산으로만 볼 시기는 이제 지났다. 북한은 국제사회를 향해 독자적인 행보를 예고하고 있다. 우리는 그 변혁의 움직임을 직시하고 현재 북한을 정확히 읽어내는 통찰력으로 미래의 평화를 준비해야 한다.
이 책은 북한의 핵 개발 40여 년간 대외 변화와 그 과정에서 발견된 함의들을 10인의 전문가들이 깊이 있게 분석·설명한다. 각 장은 설명자료, 연표, 토의 주제, 추가 읽을거리 등을 포함하여
[학술논문] 북한 핵교리와 한국 핵무장 담론 간 동학
북한의 핵무기 개발은 단순한 안보 위협을 넘어, 대한민국이 스스로를 어떤 국가로 인식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제기한다. 본 논문은 북한의 반복적인 핵실험과 미사일 도발이 한국의 국가 속성(state identity)을 어떻게 도전하고 재구성 압력을 가해왔는지를 구성주의 국제정치이론과 담론 분석을 결합하여, 국가 속성이 정태적 실체가 아닌 동학(dynamics)을 통해 형성되는 과정에 주목한 다. 한국은 비핵국가로서 제도적 속성을 유지하고 있으나 ‘자주적 억지력 보유국 가’로의 정체성 전환이 정책·담론 수준에서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국가의 정체 성은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타자’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재구성된다는 관점에서 볼 때, 이 변화는
[학위논문] 북한이탈여성의 일과 가족생활 경험 연구
북한이탈주민들이 지속적으로 남한 사회로 유입되면서 중요한 사회복지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북한이탈주민 중에서 여성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 그러나. 지금까지 북한이탈여성의 일과 가족생활 경험 연구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여성이 한국 사회에서 어떻게 일과 가족생활을 하는지를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론을 채택해서 심층인터뷰를 실시했다020년 5월부터 8월까지 A시에 거주하는 15명의 북한이탈여성과 대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주제분석 방법(thematic analysis)을 사용해서 확보된 인터뷰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이를 통해, 4가지 주제와 10개의 하위범주, 41개의 세부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학술논문] ‘근미래무기’와 김정은 정권의 핵무기 고도화 간 동학(動學)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근본적 문제인식은 핵무기는 여전히 매력(mojo)을 지니고 있으며, 절대무기의 왕좌를 언제까지 유지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했다. 특히 인공지능(AI)과 로봇은 군사혁신의 핵심 과제이다. 이렇게 여러 새로운(尖端) 기술들이 핵무기와 관련해서 계속해서 개발되고 배치됨으로써 국제안보에 여러 가지 도전을 제기하는 것은 확실하지만, 새로운 핵무기 위험을 완화하고 관리하려는 노력은 이러한 역학과 관련된 위험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확한 이해에서 시작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근미래무기 확산의 주요 동인을 이론적으로 분석하며, 미국의 핵 비확산과 관련하여 ‘핵무기 없는 세상’을 천명한 버락 오바마 대통령 집권 기간(2009~2017) 동안 미국이 어떠한 군사전략에서 ‘핵무기
[학술논문] 북한의 핵전략 변화와 함의
북한은 이제 명실공히 핵보유국이다. 북한 핵무기는 생·화학무기와 함께 언제라도 통용되는(핵무기 고유의 위력이 발생하는) ‘통화’(the accepted currency of power)가 됐다. 특히 김정은 정권을 거치면서 북한은 핵무기를 민족의 자주권과 존엄을 수호하는 정의의 보검이며 자주통일과 평화번영을 담보하는 민족공동의 자산으로 간주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이러한 의도는 무엇이며, 북한의 핵지휘통제에 대해 총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북한의 핵무기 개발 연원을 시계열적으로 간략하게 살펴보고 당시 상황을 분석한다. 다음에는 북한 핵무기 개발과 관련된 조직들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를 살펴보면서 향후 북한의 핵지휘통제가 어떻게 전개되어 나갈 것인가를 최근의 북한 상황을
[학술논문]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at the Crossroad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oles of satisfaction, value, trust, and firm performance on switching costs,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Korean exporters to China. Specially, our study focuses on the selection of the optimal model using alternative models such as direct, performance, trust-oriented, and research models. We use a total of 329 responses to analyse alternative models. Nor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