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70년대 한국 대중의 정치의식과 ‘반공국민’으로 살아가기 - 개인일기 4종을 통해 본 1970년대 대중의 정치의식
이 글은 1970년대 유신체제를 살았던 한국의 일반 대중의 정치의식과 냉전체제 하 반공의식을 일기를 통해 살펴보았다. 살펴본 일기는 〈대곡일기〉 〈창평일기〉 〈박래욱일기〉 〈아포일기〉 4종이다. 일기에 기록된 그들의 일상적 삶보다 4인 모두를 함께 둘러싸고 있던 그날의 대한민국 정치적 상황에 초점을 맞췄다. 1960년대부터 본격화된 경제 성장은 그 시대 인식의 가장 강력한 기준이자 지표였다. 여기에 공산주의, 북한이라는 외부의 위협은 경제 성장과정의 부작용이나 정치적 독재체제에 대한 불만과 우려를 잠재울 수 있는 ‘여의봉’과 같았다. 이 시기 언론은 대중의 감성적 경험을 사실화, 이데올로기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향토예비군, 민방위, 반공교육 및 체험 활동 등은 냉전 체제하의 국가 안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