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용악 시 연구의 제문제와 극복 방안
... 분단 이전과 이후로 나뉜 작품들을 합치는 전집발간을 통해서 지지부진한 이용악 시 연구는 새로운 전기를 마련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는 이용악 시가 현실을 서정적으로 반영한다고 할 때의 수동적 현실과능동적 서정성은 각각 발전적으로 극복될 필요가 있다. 월북 이후의 작품에 대한분석과 평가에서 연구자들이 부딪치는 어려움은 이용악의 시를 배태한 현실과 이용악의 시를 읽고 있는 ‘현실’ 사이의 괴리에서 연유한다. 이러한 시차를 극복하기위해서는 차이를 뛰어넘는 보편성만큼이나 차이 자체에 대한 뚜렷한 확인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현실이 무엇인가? 이용악 시의 한계를 직시하는 것이 오히려 이용악 시 연구의 가능성을 확보하는 방법일 수도 있다. 다만그 성취와 한계에서 도식적인...
[학술논문] 이용악의 「평남관개시초」 연구
... 등 북을 택한 남로당계 문인들 가운데 드물게 북한 문단 중심에서 꾸준히 활동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전쟁이후 북한 문단에서 이용악의 문학적 위치를 확고히 하게 한 「평남관개시초」의 특성과 ‘전후복구와 사회주의 기초 건설기’의 북한 문예이론이 이용악 시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또한 이와 관련된 이용악의 시세계의 특징 및 방향성을 살폈다. 또한 이 작품을 통해 남로당계 숙청과정에서 드물게 살아남아 북의 문단 중심에 자리 잡고 지속적으로 작품 활동을 할 수 있었던 요인을 파악하였다.
[학술논문] 재일 조선인 북송 사업과 이용악의 시
...주제로 한 작품들의 경향을 파악하고 시의 구조를 분석한다. 발표된 작품들은 대부분 북한 당국의 문예 정책을 충실하게 따르고 있었으며, 일부 작품들은 작품의 구조와 형태가 유사하고 비슷비슷한 의미나 이미지를 가진 시어들이 사용되는 등 도식적인 성격을 보여주었다. 이는 도식주의와 기록주의 극복을 표방하던 북한의 문단의 흐름과는 상충하는 것이었다. 3장에서는 재일 조선인 북송 사업을 다룬 작품들과 같은 주제를 다루는 이용악의 작품을 비교하여 이용악만의 개성이 드러나는 지점을 탐구한다. 같은 주제를 다루는 이용악의 작품들은 도식주의와 기록주의에서 벗어나 강한 서정성을 보여 주었다. 특히 창작에 필요한 시간을 충분히 확보한 「열 살도 채 되기 전에」와 「봄의 속삭임」은 월북 이전 이용악이 보여준, 서사적 장치들과 인물을...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이용악의 시 「다만 그것을 전하라 - 불가리아의 로시인 지미뜨리·뽈리아노프에게」의 발표 지면 발굴과 그 의미
월북 이후 이용악의 시 「다만 그것을 전하라 - 불가리아의 로시인 지미뜨리·뽈리아노프」에게는 그간 문학과 지성사에서 발간된 이용악 시전집에는 1952년 문화전선사에서 발간된 『평화의 초소에서』에, 소명출판의 『이용악 전집』에는 1957년 조선 작가 동맹 출판사에서 발간된 리용악 시선집에 실린 것으로 소개되어 왔다. 논문에서는 이 작품이 1952년 11월 17일 『로동신문』 3면에 실린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그것을 전하라」는 1952년 11월 북한을 방문한 게오르그 카슬라보프를 단장으로 한 불가리아 사절단에게 전하는 작품이다. 시의 부제에서 언급된 지미뜨리·뽈리아노프 역시 불가리아의 시인으로 인민 사절단의 일원이었다. 이용악 시전집에서 소개된 것과 달리 이 작품은 11연 65행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