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 작가의 글쓰기와 자본의 문제
...지점에서 이전에는 경험하지 못했던 비판 행위의 가능성이 열리게 되며, 그 과정에서 지식인의 반성적 성찰이 수반된다. 탈북 작가들의 글쓰기는 정치적, 이념적 논란의 대상인 북한이라는 체제의 폐쇄성을 다루면서 탈북자로서의 진실성과 정치적소명의식을 동시에 추구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빈곤을 벗어나 이주한한 개인으로서의 인식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그 층위가 단순하지 않다. 북한 체제 내부에 대한 비판이나 탈북 과정에서의 고통에 대한 형상화와 함께 탈북 이후의 삶과 적응 문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한국 사회로 진입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탈북자들의 형상화는 그들이 자본주의 체제의 호모 이코노미쿠스로 재탄생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를 보여주는동시에, 한국 사회 구성원들의 인식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탈북자들은한국...
[학술논문] 한반도 통일과 인권의 층위
...통일과정과 보편적 인권실현과정을 통합적으로 보는 시각에서 인권의 층위 개념을 살펴보는 데 있다. 우선 인권의 층위는 한반도 인권, 북한인권, 남한 인권, 코리언 디아스포라 인권 등 분단체제를 중심으로 상호 연관관계를 형성하는 인권범주들을 지칭한다. 한반도 인권 범주는 분단체제의 구조적 인권유린이 남북 모두에 작동하고 있기때문에 성립가능하다. 또한 분단체제가 가하는 구조적 인권침해를 고려하더라도 남북의 고유한 체제에서 비롯되는 인권침해의 차별적 양상이 있는한, 남한인권, 북한인권이란 범주도 분석적 설명력을 지닌다. 나아가 한반도와의 역사적, 문화적 연대의식이 강하고, 통일한반도를 지향하는 코리언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을 염두에 둔다면, 코리언 디아스포라 인권을 별도 범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권의 층위는 상호보완적인...
[학술논문] 한반도 퀴어 지정학에 대한 탐색적 연구: 북한의 호모섹슈얼리티에 대한 세 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존재양상에 대해 어떻게 추론할수 있는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북한 사회에서 호모섹슈얼리티는 내부와 외부;민족과제국;순결과 오염을 나누는 기준점으로 이용되며;이는 국제사회의 인권 규범과 충돌하면서도 남한의 일부 이성애규범적 통일 담론과 맞닿아 있다. 북한은 외부 세계와의 접점을 통해 호모섹슈얼리티에 대한 이해 방식을 형성해왔으며;그러한 예로 재일조선인 귀국사업과 푸에블로호 나포사건에서 나타나는 호모포비아 담론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북한 이탈주민들의 증언은 기층 사회에서 나타나는 호모섹슈얼리티의 여러 요소와 수행양상들이 공식적 담론의 층위와는 단절되어 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북한에대한 연구가 남한 사회에서 퀴어 연구가 부딪히는 문제들과 맞닿아 있으며;한반도 퀴어연구의 과제를 (탈)냉전분단체제의 과제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