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과 북한 농업집단화 소설의 인물형상 비교 고찰 - 장편소설『석개울의 새봄』과 『맑은 하늘』을 중심으로
...양국의 정치, 경제, 문화발전에거대한 변화를 일으켰으며 극히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정치적인 측면으로 볼 때농업 집단화는 필경 두 사회주의 나라에서 공산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이며 한차례시험단계라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중국과 북한의 농업 집단화 소설의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천세봉의 장편소설�석개울의 새봄�과 호연의 장편소설 �맑은 하늘�의 인물형상에 대한 비교와 고찰을 통하여 양국에서 실행된 농업 집단화의 유사성과 차이점 및 그 원인을 규명하려는 데 있다. 이러한 비교연구는 양국의 문학연구뿐만 아니라 사회연구에도 의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두 나라의 농업 집단화를 소재로 한 소설은 당시 역사상황에 대한 인민들의 인식이담겨 있으며 이로부터 거창한 역사변혁에서의 인민들의 내면세계를 터득할 수 있다...
[학술논문] ‘曉風’이 불지 않는 곳: 염상섭의 『無風帶』 연구
...붙들려온 사윗감 병직을 마뜩찮아 하는 가운데 받아들여주는 것과는 달리, 『무풍대』는 남북협상에 따라갔다 왔다고 하여 기창과 결혼한 며느리 정임을 숫제 죽은 것으로 치부하는 기창 모의 시각을 통해 이념의 경화(硬化)와 함께 냉전의 심리구조가 더욱 일반화·심화된 현상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작가는 5.10 선거에 출마한 원영의 오라비 태영의 인물 형상화를 통하여 남한의 기회주의적 정치 풍토에 대한 비판을 담아내고 있으며, 특히 방공(防共)을 위해 조속한 농지개혁을 시행한 남한 정부의 전략도 풍자적 시선으로 그려내고 있다. 이는 『효풍』에서 박병직에 의해 제시되었던 ‘분단극복을 위한 조선학’의 비전을 ‘부르주아 독재의 혼탁상을 그려내기 위한 남한학’으로 축소할...
[학술논문] 새로 찾은 이용악의 「보람찬 청춘」과 시 작품 연구 -「보람찬 청춘」과 「산을 내린다」 외 5편 분석-
...문학의 면모를 가늠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1955년에 발표된 『보람찬 청춘』은 전후 복구시기를 배경으로 전후 복구에 참여하는 청년들의 이야기를 옮긴 일종의 실화문학인데, 산문을 많이 남기지 않은 이용악의 작품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전후의 복구 건설을 위해 대중동원과 함께 청년의 역할을 강조하던 당시 북한문학계의 요구에 충실한 작품으로, 해방 전 이용악 작품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특유의 인물 형상화 방식이 잘 드러난다. 또 이용악 초기시에 나타난 서사성과 비탄적 서정성은 이 실화문학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그 외 함께 발굴된 「산은 내린다」, 「앞으로! 번개같이 앞으로!」, 「피값을 천만배로 하여」 등의 시를 통해 북한 사회주의 시인의 역할에 충실했던 시인 이용악의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다.
[학술논문] 북한 과학환상소설의 환상성과 인물의 형상화 방식
북한과학소설에 대한 문학연구나 비평은 다른 북한문학연구에 비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상당히 영성하다. 관습적인 이유로는 장르문학이 소설의 권위에 비해 비교적 차이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에 따르면 북한 과학환상소설은 과학적 환상을 바탕으로 사실적이며 희망적이라면 서구의 과학소설은 터무니없는 환상에다 비현실적이며 비관적이라고 보고 있다. 북한 과학환상소설은 독자들에게 과학기술과 정보를 제공한다. 북한 과학환상 소설은 일종의 레퍼토리를 가지고 있다. 즉 남자주인공과 여자주인공 그리고 악당 과 희극적 인물이 그것이다. 북한과학소설에는 크게 긍정의 인물과 부정적 인물로 나뉜다. 긍정형의 인물들은 지배적이거나 사회적으로 가장 명백한 특징들을 다양 하게 보여준다. 그들은 독립적이며 영웅들이며 유토피아에 대한 목적성을
[학술논문] 아동문학에 나타난 북한이탈학생 이미지의 기호학적 분석
...모형에 의해 주체, 대상, 조력자, 반대자, 발신자를 정리하면 주체인 북한이탈학생이 욕망하는 대상은 자유와 친구관계형성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욕망을 획득하기 위해 도와주는 조력자는 주로 가족이나 같은 처지에 있는 또래였다. 반면 주인공의 행동을 반대하거나 억압하는 반대자는 탈북 과정에서 만난 타국 사회나 어른들이었으며 남한사회 문화나 또래아이들도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기호사각형을 통해 분석된 특징은 억압과 자유 사이, 운명 수용과 개인 의지 사이, 피동적인 인간과 능동적인 인간의 측면에서 갈등하면서 스토리의 의미를 창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인공인 북한이탈학생들이 대립적이고 모순적인 상황에서 자신의 모습을 긍정하고 사회의 굴레에 굴복하지 않는 적극적인 인물로 형상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