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중앙관료의 힘보다 사회의 모습을 결정짓는 데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런 관점에서 북한 일상사연구는 단순히 아래층의 일상을 관찰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북한 주민의 생활모습 변화가 어떤 사회적 압력으로 작용해 북한 체제의 변화와 연결되는지를 검토하는 상호작용 모델로서 기능한다.
출간의의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북한일상생활연구센터가 한국연구재단 연구과제[북한 일상생활세계의 아카이브 구축과 연구방법론 개발: 체제변화 동학과 일상생활세계의 연계모델(KRF-2007-322B00006)]를 수행하면서 내놓는 연구결과다. 북한학 연구계에서 북한의 일상사를 다루는 시도는 처음 있는 일이다. 북한 일상생활연구에 대한 분석 틀을 서구의론에 의존하지...
[사회/문화]
...직후 북한 체제 성립을 위한 공간도 이후 역사와 직결되어 있고,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나 북조선인민위원회의 조치들은 북한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북한 역사 서술의 시작은 해방 직후부터 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그리고 가장 최근의 모습까지 파악하는 것이 북한 주민 삶의 총체적인 변화상을 파악하는 길이므로 2010년대까지의 북한 주민의 일상사를 기술했다. 특히 북한 체제가 형성되는 시기인 1940년대와 1950년대 민중생활의 실제를 파악하는 데 관심을 기울였다. 체제 형성기에 대한 깊은 탐구가 이후 역사를 이해하는 데 유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70년 역사 동안 북한의 민중도 정부도 인민생활의 향상이라는 기본적인 목표를 갖고 움직여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학술논문] 이미지에 드러난 북한체제의 정치커뮤니케이션: 1950~60년대 포스터를 중심으로
...포스터(선전화) 200여점을 분석하여 북한인민의 생활미시사를 추적, 분석한다. 북한 현대사를 관통하는 정치적 사건과 경제적 주제들이 포스터에 어떻게 녹아들었으며 이것이 북한주민의 일상사에 주입됐는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이다. 그 시기 포스터에 투영된 북한체제의 특징을 시각적으로 포착, 그것이 포스터에 어떻게 표현됐으며 인민들에게 전달됐는지를 사회주의적 사실주의(Socialist realism)의 기준에 대비하여 살핀다. 이는 북한 포스터가 갖고 있는 비주얼상 특징이 북한체제 전반의 과제를 담아냈는지를 인민의 생활 재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1950~60년이라는 격동의 시기에 제작된 북한 포스터가 담고 있는 메시지와 특징이 당시 북한체제가 인민에 전하고자 하는 정치사회적 맥락이 어떻게...
[학위논문] 북한 시장화의 기원과 형성 : 상인주체 형성의 일상사
북한 시장화의 기원과 형성에서 경제학적 측면과 정치학적 측면의 선행연구들에 나타나지 않은 인민의 일상에서의 시장화를 탐색한다.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북한 시장화를 1990년대의 시점에서 조명했다. 본 연구는 북한 시장화의 기원을 그 보다 앞선 1970년대로 보고 있다. 전 인민적 소유라는 북한 특유의 사회주의 정책 하에서 하층민이 어떻게 시장화의 싹을 틔웠고 관계를 형성했으며 장마당을 시장이라는 공간으로 바꾸어 냈는지에 관한 것들을 추적했다.
[학술논문] 북한, 설명 가능한 세계로의 초대 ―김수지, 『혁명과 일상:해방 후 북조선, 1945~1950』(윤철기․안중철 역, 후마니타스, 2023)―
...‘미군 노획 문서’(RG242) 자료를 토대로 해방기이자 북한형성기라고 할 수 있는 1945~1950년의 기간에 북조선의 인민들이 경험한 혁명을 일상사 연구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있어 주목된다. 해방 이후부터 한국전쟁이 발발하기 이전까지는 북한의 역사상 가장 역동적이고 뜨거웠던 혁명의 시간이기도 하지만, 해방과 탈식민, 분단과 냉전의 흐름이 복합적으로 교차하며 새로운 국가, 주체, 일상이 구성되고 경합하던 시대였다는 점에서 한국의 현대사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 저서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는 ‘자서전’에 대한 논의는 ‘인민의 자기에 대한 이야기는 어떻게 혁명의 서사를 보충하는가?’ 혹은 ‘혁명 뒤편의 일상을 비추고 있는가?’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