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협동농장 개혁에 대한 고찰: 협동농장 경영방식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 연구의 결과, 1990년대 중반 경제난 이후 추진된 북한의 협동농장 개혁은 협동농장 경영관리체계와 경영관리방법의 변화에 중점이 있으며, 김정은 시기에 한 단계 높은 수준에서 심화되어 협동농장 자율경영 범위의 확대와 협동농민의 노동생산의욕 자극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그 실효성은 제한적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일반균형모형(General Equilibrium Model)을 활용한 정량적 분석 결과는 북한이 협동농장 농산물 자율처분 권한을 현재의 국가 40% 대 개인(협동농민) 60%에서 개인 70%, 80%, 90%로 증가시킬 때 실질GDP는 1.3%, 2.7%, 4.1%로 증가하고, 시장 쌀 판매가격은 1.3%, 2.4%, 3.3% 감소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