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대안학교와 일반학교 비교를 중심으로
...북한이탈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대안학교와 일반학교 비교의 관점에서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거나 중퇴․졸업한 북한이탈청소년 20명을 심층 면담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는 개인, 가정, 학교, 지역사회요인 4개의 범주를 근간으로 13개의 하위영역들을 중심으로 대안학교와 일반학교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요인으로서 긍정적 자아개념과 높은 진로결정 수준은 학교적응에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다. 그러나 가정요인은 대부분 낮은 수준에 머무르며 학교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개인요인과 가정요인은 대안학교와 일반학교 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 학교요인과 지역사회요인은 대안학교와 일반학교 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학술논문] 한 대안학교의 중국출생 북한이탈학생들의 한국 사회통합 양상: 통합교육 측면에서 사례연구
...단념하거나 가능성을 보이는 학생들의 특징 또는 태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한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11명의 북한이탈학생들과 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주제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의 절반 이상이 통합교육을 갈망하고 있지만 여전히 통합교육을 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여겨서 통합교육을 단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분리교육에서 오랜 기간 적응교육을 받은 학생일수록 일반학교에서의 통합교육을 받는 것에 대해 더욱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럼에도 참여자들 중에 적극적인 자생적 노력을 기울이는 학생들에게서 통합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북한이탈학생들의 자립력과 통합교육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학위논문] 탈북학생 교육 체계 개선 방안 연구 : 입국초기 및 전환기 교육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학력 수준의 교육을 받으려면 하나원 내에서도 일부 교육을 받기도 하지만 하나원 인근에 있는 삼죽초등학교를 다니게 된다. 그리고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력 수준의 교육을 받으려면 하나원 내에 있는 하나둘학교를 다니게 된다. 둘째, 전환기 교육은 정착지 일반학교에 바로 가서 적응하기 어려운 탈북학생들의 남한사회 적응력 향상을 위해 한겨레중ㆍ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3개월(12주)의 입국초기 교육이 끝나면 탈북학생과 학부모들의 희망에 따라 주로 정착지 일반학교,한겨레중ㆍ고등학교, 대안학교로 전ㆍ편입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든 탈북학생들이 전환기 학교로 입학 또는 진학하는 것은 아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일부(하나원)와 교육부(시ㆍ도교육청)로 각각 이원화하여 운영되고 있는 탈북학생 입국초기와 전환기 교육을...
[학술논문]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차별과 편견으로 피해자에서 문제아로 낙인 됨, 셋째, 피해에 대한 어떠한 치유나 보상을 전혀 받지 못한 채 학교에서 설 자리를 잃었고, 결국 학교를 떠나게 되는 이야기로 의미화 되었다. 폭력의 희생양이 된 ‘훈이’의 이야기를 통해 펼쳐진 삶의 궤적은 단순히 한 개인의 사적 영역이 아니라 가정과 학교, 더 나아가 그 사회를 둘러싼 사회 구조적 문제까지 포함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일반학교의 교사들은 이들에 대한 효과적인 교수법이나 교재를 활용하는 맞춤형 교육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측면에도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나아가 교사 개인의 노력과 사회적 차원의 공동의 노력이 함께 할 때, 이들은 학업적 성취를 이루고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당당하게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학위논문] 북한의 장애와 장애아동 교육에 대한 북한이탈주민과 전문가의 경험과 인식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북한 장애아동 교육 수혜율 제고를 위한 노력이 시급한 과제로 분석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일반학교 내 특수학급 설치’와 ‘지적장애 특수학교’의 설립을 우선 과제로 도출하였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이 북한 장애아동 교육 발전을 위해 제안한 과제는 ‘특수교사 양성 및 특수교육 기관의 확대, 보호·재활 중심의 복지 지원 확대, 교육과정 및 교재의 개발, 긍정적 장애 용어의 개발과 순화 노력’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아동 교육 분야에서 도출된 ‘일반학교 특수학급 설치 및 지적장애 특수학교 설립’ 과제와 함께 향후 북한 장애아동 교육 발전을 위한 중요한 시사점으로 활용할 수 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