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한국문학사’에서의 한국고전문학사 인식과 서술양상
본 연구는 일본에서 저술된 한국고전문학사를 중심으로
일본
문학사와 남북한 문학사와의 문화횡단적 양상을 살핌으로써 한국문학사에 대한 인식과 서술양상을 규명하고자 했다. 그 분석대상은 일본인과 재일조선인을 대상으로 일본어판 『조선문학사』를 저술한 김동욱과 변재수이다. 일본문학과의 비교문학적 관점인 김동욱의 『조선문학사』(1974)와 재일조총련계로서 사회주의적 관점에서 저술한 변재수의 『조선문학사』(1985)는 자국문학사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과 인식이 서로 달랐다. 이것은 무엇보다 분단체제로 인한 남북한의 문학사가 이질적으로 전개되는 현실에서 그들의 『조선문학사』는 남북문학사의 균열상을 담아내고 있다. 하지만 그 한편으로 한문문학의 가치와 향가, 한글창제, 그리고 판소리의 독자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으며, 한국문학으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