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인터뷰: 피터스 연구원] “트럼프, 한일에 요격기 추가 배치할 수 있어”
본토 미사일 방어 강화에 나선 미국이 앞으로 한국과 일본에 요격기를 추가 배치할 수 있다고 로버트 피터스 헤리티지재단 핵 억제 및 미사일 방어 연구원이 내다봤습니다. 피터스 연구원은 최근 VOA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을 위한 아이언돔’ 행정명령을 보면 앞으로 요격기의 전진배치에 중점을 둘 것으로 보인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뉴스] 美전문가 "트럼프 정부서 한미일 미사일 방어 강화 진전할 것"
미국 내 동아시아 전문가인 케네스 와인스타인이 "도널드 트럼프 차기 행정부에서는 러시아와 접근하는 북한의 핵 문제 대응을 위해 한미일의 미사일 방어(MD) 강화가 진전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워싱턴DC의 보수성향 싱크탱크 허드슨연구소의 일본부장인 와인스타인은 4일 도쿄신문에 보도된 인터뷰에서 트럼프 차기 대통령의 안보 전략 축으로 억지력 회복과 힘에 의한 평화를 들고 이란, 러시아, 중국에 대해 군사, 경제 양면의 압력이 강화될 것이라며 이처럼 말했다.
[뉴스] 美전문가 "트럼프 정부서 한미일 미사일 방어 강화 진전할 것"
미국 내 동아시아 전문가인 케네스 와인스타인이 "도널드 트럼프 차기 행정부에서는 러시아와 접근하는 북한의 핵 문제 대응을 위해 한미일의 미사일 방어(MD) 강화가 진전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워싱턴DC의 보수성향 싱크탱크 허드슨연구소의 일본부장인 와인스타인은 4일 도쿄신문에 보도된 인터뷰에서 트럼프 차기 대통령의 안보 전략 축으로 억지력 회복과 힘에 의한 평화를 들고 이란, 러시아, 중국에 대해 군사, 경제 양면의 압력이 강화될 것이라며 이처럼 말했다.
[뉴스] 美 "北 탄도미사일 발사 규탄…동맹과 대응 긴밀 협의"
(서울·워싱턴=연합뉴스) 임지우 기자 송상호 특파원 = 미국 국무부는 12일(현지시간)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며 한국과 일본 등 동맹국 방어에 대한 미국의 공약은 철통같다고 밝혔다.
[뉴스] 美, 北순항미사일 발사에 "모니터링 중…한일 방어공약 철통"
미국 국방부는 북한의 최근 순항 미사일 발사와 관련, 북한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고 있다면서 한국과 일본에 대한 미국의 방어 공약은 철통같다고 강조했다.
[정치/군사]
...대만 유사시 주한미군이 신속히 투입될 수 있어야 하며, 중국과 북한의 선제타격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한미군을 감축해서 일본이나 괌으로 재배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보고서 작성자 중 한 명은 2월 25일 Foreign Affairs에 기고한 논문인 “대만 집착: 미국의 전략은 이길 수 없는 전쟁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The Taiwan Fixation: American Strategy Shouldn’t Hinge on an Unwinable War)”에서 제2의 애치슨 라인을 그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렇게 미국이 북한과의 핵전쟁을 피하거나 대만 및 한국 방어에 주저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 미국의 확장억제 공약(commitment)을 믿어도 될까?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연기만으로...
[정치/군사]
...‘공세적 방어 추구형’으로, 핵독트린은 ‘다중 억제교리’로, 실제 실전적 수행은 ‘반위협(AT),’ ‘반접근(A2),’ ‘반개입(AI)’에 맞춰 수행하고 있다고 본다.
북한이 최근 몇 년 사이 전술핵무기의 대량생산, 실전화에 집착하는 것은 반위협, 반접근을 위한 무기체계로서 전략적 운용의 폭이 넓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중거리 탄도미사일 이상의 ‘전략무력’의 경우 기술적 완성도에서 확실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확증보복용으로서 최후적 사용과 원거리의 미국 본토를 대상한다는 점에서 운용이 제한적이다. 반면 변칙성이 강한 근거리 및 단거리 미사일, 극초음속미사일...
[정치/군사]
...기회를 날려버린 바 있다.)
④ 한미일 대 북중러, 동아시아 질서의 재편
네 번째는 동아시아의 새로운 판도, 즉 ‘한미일 대 북중러’ 구도의 부상이다. 오래된 통념과 달리 한반도와 그 주변 6개국은 냉전 시대부터 진영 대결보다 각국의 이익에 따른 합종연횡을 반복해왔다. 그러나 미국이 미사일방어체제(MD)에 일본과 한국을 포섭하며 북중러를 공통의 적으로 설정한 이래, 2019년 북미 비핵화 협상이 깨지고, 중국과 러시아가 (패권 경쟁국인 미국을 견제하기 위해) 사실상 북핵을 용인하는 행보를 보이면서 한미일 대 북중러의 구도가 현실화하고 있다. 한반도가 동아시아 최대의 화약고로 부상한 것이다.
달라지는 게임의 법칙과 ‘공포의...
[법/인권]
...확보는 나중 문제였다.
2012년 2월 북한은 우라늄 농축 및 미사일 실험 중단에 합의하고 IAEA 사찰단의 영변 핵시설 재조사 허용을 발표했다(이를 “윤일협정”이라 부른다). 6자 회담도 재개될 예정이었다. 비핵화 협상이 타결되면서 북측은 인도적 지원 과정에서 모니터링을 대폭 축소하는 쪽으로 협상을 이끌려 했다. 양측은 여러 논의 끝에 식량 지원 제공 및 지원 분배 모니터링 조건에 합의했다. 미국은 매달 2만 톤씩 총 12개월 동안 24만 톤의 식량을 지원하고 북한은 모니터링 요원 증원을 약속했다.
그러나 북한은 2012년 3월 16일, 김일성 탄생 100주기를 기념해 탄도 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위성을 쏘아올렸고 이는 명백한 윤일협정 위반이었다. 식량지원...
[학술논문] 우주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국제법 연구
...우주의 평화적 이용조항은 달과 다른 천체에만 적용될 뿐이지 일반적으로 우주전체(outer space in general)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조항을 근거로 우주를 통과하여 지구 내 일정지점을 타격하는 핵장착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실험이 방해받지는 않는다고 해석된다. 다시 말해서 ICBM과 지구선회우주선의 부분궤도폭격체제(FOBS)의 사용이 핵무기와 대량파괴무기를 적재하지 않은 한 금지되지 않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사실 위성공격무기(ASAT)와 탄도미사일방어(BMD)는 금지되지 않고 있으며 미국과 소련이 지금까지 이 두 종류의 무기개발에 관하여는 합법적이라는 견해에 상호 동의해왔고, 소련(러시아 포함)이 비록 우주의 ‘비군사적’(non-military)화를 주장하였어도...
[학술논문] 한반도 통일과정과 군사력의 역할: 지상군 전력 건설방향에 대한 문제제기
...그동안 북한의 전면적 도발에 대한 억지와 이에 대한 방어에 집중하였지만, 최근 집중되고 있는 북한의 제한적 도발에 대한 지상군의 억지 및 방어 전략은 제시하고 있는가? 가령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KAMD) 및 한미연합 선제타격체제(Kill Chain)에서 해군 및 공군과 차별되는 육군의 역할은 무엇인가? 다른 한편, 병력운용 계획을 입안할 때 소위 ‘북한 급변사태(the North Korean contingency)’로 일컬어지는 한반도 유사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정화 작전의 소요병력을 고려하고 있는가? 또한 안정화 작전을 수행함에 있어서 병력운용 방식은 어떻게 계획하고 있는가? 마지막으로 글로벌 안보환경의 변화 및 미국, 중국, 일본의 군사력 운용 및 군사전략의 관점에서 우리의 병력운용...
[학술논문] 한국과 일본의 탄도미사일 방어(BMD) 추진 비교
...북한의 핵위협은 동일한데도 탄도미사일 방어(BMD) 능력에 있어서 한국과 일본이 현저한 차이를 지니게 된 현상에 주목하여 그렇게 된 결정적인 원인을 파악하여 교훈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 한일 양국의 BMD가 현재와 같은 차이를 보인 이유는 첫째, 북한 핵미사일 위협이 심각하다는 점을 한국은 제대로 인식하지 않았지만 일본은 그렇게 했고, 둘째, BMD에 관한한 유일한 선도국인 미국과의 협력을 한국은 계속하여 회피하였지만 일본은 적극적으로 추진하였기 때문이다. 이제 한국은 지금까지 견지해온 한국의 접근방법이 잘못되었음은 인정하고,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을 있는 그대로 또는 미래에 대두될 위협의 정도와 형태까지 예상하여 심각하게 인식해야하고, 일본처럼 미국과의 긴밀한 협력체제 구축에...
[학술논문] 한미간 사드(THAAD) 배치 합의와 이에 대한 국회의 동의 필요성
...합의하여 발표하였다. 이 무기체계의 배치는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여 한미동맹의 현존 미사일 방어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무엇보다 이 무기체계는 최소 1천km 이상의 범위에서 탄도미사일의 움직임을 조기에 식별하는 성능을 갖춘 AN/TPY-2 X밴드 레이다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국의 미사일방어(MD)의 핵심적 요소라고 한다. 그러나 한국에 사드를 배치하는 것은 한국의 안보를 위한 것이라 하지만 역설적으로 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 한국군에 대한 전시 작전통제권이 미국에 있다는 점, 미‧일동맹이 견고하고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미국이 보증하고 있으며 장차 체결될 것으로 보이는 한‧일간 군사정보공유협정을 통하여 사드를 통해 수집된 정보가 일본에게도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 한‧미‧일 군사동맹의...
[학술논문] 한반도 안보환경 변화에 따른 항공전략 정립방향
남과 북이 분단 상태에서 상호 군사적 대치를 지속하는 가운데, 북한은 경제난 속에서도 그들의 궁극적 목표인 남한 적화통일이라는 야욕을 버리지 않으며, 핵무기와 장거리 미사일 개발을 포함한 군사력 증강에 힘쓰고, 최근 개최된 7차 노동당 대회에서도 경제와 핵무력 건설 병진노선을 거듭 천명하고 있다. 미국의 ‘아시아 회귀’정책으로 인한 미‧중간의 갈등이 증폭되고, 중국의 ‘적극방어전략’을 천명, 러시아의 ‘신 러시아제국’의 부활 움직임, 일본의 군사 강국화와 안보 관련 법안 개정 등이 주변국의 우려를 초래하고 있다. 즉 한반도를 둘러싼 총체적 안보환경이 더 한층 악화되고 있는 것이다. 한국 공군은 1949년에 창군한 이래 획기적인 발전을 거듭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