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韓國 신발産業의 戰略的 outsourcing으로 北韓進出에 관한 硏究
한국 신발산업은 1980년대 후반부터 급격한 원화절상, 인건비상승, 후발개도국의 부상에 따른 경쟁력 상실 등으로 인하여 생산설비의 해외이전이 가속화되었고, 이로 인해 국내생산기반은 약화되고 정부의 산업정책도 신발과 같은 경공업 중심에서 조선,
자동차, 기계 등의 중화학공업이나 반도체, 전자 등을 주축으로 한 첨단산업에 집중되면서 생산, 수출감소에 따른 전반적인 수급체계의 변화를 가져와 산업구조가 수출중심에서 내수 중심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세계 신발수출액 제2위, 시장점유율 16.5%를 자랑하던 한국 신발산업은 1990년대로 접어들면서 급격히 쇠퇴하는 사양산업으로 인식되었다. 최근 우리나라의 산업과 기업들은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해서 고비용 저효율의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