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해 상경성의 세계유산 등재 전망 및 제언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일부 유적의 진정성 논란이 있겠지만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는 데에는 큰 어려움이 없을것으로 예상된다. 상경성 및 발해 유적은 중국의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아직 들어 있지 않지만 중국이 최근 소수민족 관련 유산을 세계유산에 등재하는 경향을 강화하고 있어 향후 정치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세계문화유산으로 신청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중국이 최근 상경성에 대한 대규모 발굴을 마치고 유적정비 작업을 한창 진행하고 있어 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중국이 주요 발해 유적 대부분을 보유하고 있고 이미 잠정목록에 등재된 다른 유산이 다수 있다는 점에서 세계유산 등재를 서두르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상경성을 세계유산으로 신청한다면 고구려 유적 사례와 마찬가지로 다시 한...
[학술논문] 중국의 '백두산공정'과 대응
2017년 2월 28일, 중국은 백두산을 ‘창바이산(중국에서 부르는 백두산 명칭) 식생수직경관 및 화산 지모 경관’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자연유산 잠정목록에 신청하였다. 이어 2020년에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에 등재 신청을 하였다. 최근에는 백두산 관광 개발을 촉진하고 있으며, 이것은 백두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는 움직임과 맥을 같이한다. 이 글에서는 코로나19 이전의 답사 자료들과 최근 중국의 기사를 바탕으로 중국의 백두산 공정, 소위 ‘창바이산문화건설공정’의 현황을 분석하고 대응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2006년 설립한 창바이산관리위는 백두산을 유네스코 세계 복합유산에 등재시키기 위한 전진기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2010년부터 ‘창바이산문화건설공정’으로...
[학술논문] 황해 연안습지 생태계 보전을 위한 초국경협력 방향 - 갯벌의 세계자연유산 등재를 중심으로 -
...등재를 위한 준비를 하고 있으며, 향후 황해지역 갯벌을 통한 남북한 및 중국의 초국경협력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동성 조류 서식지, 휴식지, 중간기착지로서 황해지역 갯벌의 중요성과 보전, 관리, 남북한 및 중국의 협력체계에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UNESCO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남한의 서남해안 갯벌과 중국의 옌청자연보호구, 잠정목록에 등재된 북한의 문덕 습지보호구를 포함한 황해지역 갯벌을 중심으로 남북한 및 중국의 생태계 보전 협력 여건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동성 조류 서식지, 휴식지, 중간기착지로서 황해지역 갯벌의 중요성과 황해 연안습지 주요 특징, 북한과의 협력여건 등을 분석하여 황해 연안습지의 초국경보전지역 등재를 위한 생태계 보전 협력 방향을 제시하였다.
[학술논문] 발해유적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전망과 대응 방안
본 연구에서는 중국 내 고구려유적 관련 도시들의 근황을 소개하는 것을 시작으로 중국의 세계유산 잠정목록 및 세계유산 현황, 발해유적의 세계유산 등재 전망, 마지막으로 유적 정비의 문제점과 중국의 발해유적 세계유산 등재 시 한국의 대응 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중국은 2010년 이후 접경지역 소수민족 유산을 세계유산 잠정목록 및 정식목록에 중점 등재하고 있으며, 현재 중국 영토를 기준으로 과거 동아시아 여러 민족들을 중국인의 범주에 넣고 중국사로 서술하는 움직임을보이고 있다. 발해유적을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등록하려는 중국의 최근 의도계획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추진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중국 내 발해유적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발해유적의 가치와 현재 보존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