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아시아 판의 변화와 한중 관계의 동태적 전환
이 연구는 지역 또는 국제 질서가 변화하고 한중 관계의 구조적 제약 요인이 등장했으며, 특히 양자 요소보다 외생 변수가 중국의 한반도 정책에 영향을 미치면서한중 관계의 동태적 전환기에 접어들고 있다는 점을 분석하고 있다. 중국은 새로운 강대국 외교를 제기하면서 담론 경쟁, 규범 경쟁, 그리고 제도 경쟁의 틀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중국이 종합 국력의 증강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기준 권력(default power)을 대체하기 어렵고 글로벌 수준에서 미국과 공동 통치의 가능성도 여전히 한계가 있다. 중국은 새로운 질서를 제시할 능력과 의도가 없으며국제사회의 균형적 반발(balancing backlash)에 직면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은 글로벌 수준의 경쟁과는 달리 동아시아에서는 제국의 기반을 구축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