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갑오농민전쟁과 남북한 지역 간 교류협력: 전라북도와 황해남도의 역사 문화적 공통점을 바탕으로
2014년은 동학혁명 또는 갑오농민전쟁이 일어난 지 120년이 되는 해다. 자주 (척양척왜)와 평화 (보국안민)를 내세웠던 선조들의 정신을 이어받아 69년째 지속되고 있는 한반도 분단을 심각하게 고민해볼 때다. 기능주의 통합이론을 적용하여 양쪽 주민들이 서로 교류하며 협력하는 과정을 통해 민족통일을 이루는 게 바람직하다. 전라북도가 동학혁명 또는 갑오농민전쟁이라는 역사문화 유산을 공통점으로 지니고 있는 황해(남)도와 자매결연을 추진해 남북한 교류협력 및 평화통일에 기여할 수 있다.
[학술논문] 지역통일교육 거버넌스 발전방안 연구 - 전북지역 학교통일교육을 중심으로 -
이 논문은 전라북도 아동 및 청소년들의 통일의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통일교육 거버넌스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전북지역 중․고등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통일의식조사를 실시하고 유․초등 지도교사 FGI를 통해 유․초등학생들의 통일의식을 진단하였다. 조사결과 아동 및 청소년들의 통일의식이 희박하고 북한에 대한 관용적 태도도 상당 수준 미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 통일시대의 주역이 될 현재의 아동 및 청소년들이 통일에 대해 무관심하고 의식도 미약하다면 장차 남북 구성원 간 화학적 결합에 많은 어려움이 초래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통일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키고 원만한 남북 화합을 도모하기 위해 학교통일교육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행 지역통일교육 거버넌스...
[학위논문] 對北支援事業의 産業構造에 따른 類型別 硏究 : 14개 廣域地方自治團體를 中心으로
...Q산업 영남권의 F산업 호남권의 F산업 기타권의 A산업의 비중이 높았다.셋째 일관성 협업성 복합성의 평가지표 분석결과를 보면 강원도의 연어부화장건설 지원사업 경기도의 당곡리농촌현대화 지원사업과 개풍양묘장조성 지원사업 전라남도의 평양발효콩공장 지원사업 경상남도의 장교리협동농장 지원사업 광주광역시의 배합사료공장자재 지원사업 부산광역시의 평양항생제공장 지원사업 전라북도의 돼지공장신축 지원사업 등이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되었다. 이는 지자체가 어떤 사업을 성공적으로 지속 육성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좋은가에 대한 것이며 동시에 권역별 지자체들 간의 협업의 중요성을 성공사례로 예시한 것이다. 즉 수도권은 Q산업 A산업 N산업을 영남권은 F산업 A산업을 호남권은 F산업 A산업 M산업을 기타권은 A산업 F산업을 상호 연대하여 육성·발전시킬...
[학술논문] 월북 국악인 조상선의 창극 활동과 의미
본고에서는 남한에서 해금된 지 30년이 되었지만 여전히 낯선 국악인인 조상선에 주목했다. 그의 창극 활동이 판소리사에서 어떤 의미로 읽혀야 할지 돌아보았고, 그간 산만하게 알려진 인물 정보에 대해서도 다시 검토했다. 조상선은 1909년 3월 11일 전라북도 남원에서 출생했으며, 본명은 조상기이다. 그가 정정렬의 수제자이자 그의 뒤를 잇는 창극계의 실력자였다는 사실은 비교적 익히 알려져 있으나, 어린 시절의 스승이 누구인지는 분명히 확인되지 않는다. 창극 배우로서의 조상선은 주로 조역으로 출연했지만, 1930년대 후반부터 창작과 연출에 큰 관심을 보였다. 1940년대에 들어서 화랑창극단과 동일창극단에서 다양한 창극 음악을 새롭게 시도했다. 그의 작업은 그가 월북한 이후로도 창극 배우들, 특히 여성국극의 전성기에...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경찰의 주민 감시와 계몽-전라북도 김제군을 사례로
김제군은 전라북도 서해안에 접한 평야지대에 위치한 지역이다. 일제강점기 동안많은 주민들이 일본인 대농장 또는 대지주에 속한 소작농민으로 생활하였다. 해방후에는 인민위원회의 활동이 있었으나 영향력이 그리 크지 않았고, 한국전쟁기까지농업중심의 지역적 특성은 그대로 이어졌다. 경찰의 사찰활동은 한국전쟁 발발로 가장 극대화되어 모든 경찰활동을 장악하면서 ‘치안’보다 ‘사찰’이 더욱 시급하고 중요한 것으로 강조되었다. 이 같은 사찰활동의 중요성으로 인해 김제경찰서 사찰계는 지역경찰관서를 제외하고 가장 인원이많았다. 한국전쟁이 정전되기 직전 김제경찰서가 조직한 ‘민중계몽대’의 일원인 ‘민중계몽가’는 주민들을 자연스럽게 만난 자리에서 국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