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분석] 미중 전략경쟁시대 한국의 복합대응전략
...구분했다. 리스크의 유형을 지정학적 리스크, 경제안보 리스크, 국제규범 리스크, 남북관계 리스크, 북핵 리스크 등 5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이 중 미중 전략경쟁으로 인해 한반도에서 지정학적 리스크, 경제안보 리스크, 북핵문제 리스크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미중 전략경쟁 관계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한국이 추진할 수 있는
전략
환경을
평가하고 분석했다. Ⅲ장에서는 복합대응전략의 개념을 체계화시킴으로써 한국의 대외전략 및 대북전략 수립을 위한 기본적 지침과 틀을 제시했다. 최근 한국의 국가위상은 높아졌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역할에 대한 기대도 높아짐에 따라 대외 및 대북전략에서도 이에 맞게 능동적인 성격으로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 복합대응전략의 개념을 도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