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말 의병전쟁 연구와 기념사업의 현황과 과제
한말 의병전쟁 연구는 1980년 이후에 활성화되었다. 특히 1990년대에 의병을 주제로 한 박사학위 논문들이 발표되면서 의병 연구는 심화되었다. 2000년 이후 의병전쟁 연구는 주제가 다양화된 특징이 있다. 발표된 총 229편 중에서 인물 연구가 91편으로 가장 많다. 다음이 의진과 지역이 45편, 의병 탄압이 25편, 의병 참여층이 14편이다. 인물 연구 91편 중에서 사상과 문학을 다룬 글이 33편에 달한다. 이는 의병의 활동만이 아니라 의병에 참여한 인물들의 내면세계를 성찰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인물 중에서는 유인석이 가장 많고 다음이 최익현, 이강년, 안중근, 이소응, 임병찬 등이다. 인물의 활동 지역별로 보면충북이 가장 많고, 전북, 충남, 강원, 경북, 북한, 전남, 경기 지역의 순이다. 지역 의진에
[학술논문] 중국의 항미원조기념관을 통해서 본한국전쟁의 기억과 정치적 함의
본 논문의 목적은 중국 단둥에 위치한 항미원조기념관을 통해 중국이 한국전쟁을 어떻게기억하는지 살펴보고, 그 정치적 함의를 논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중국에게 있어서 한국전쟁의 중요성, 전쟁 기념이라는 사회적 실천과 정치적 의미, 그리고 문화적 기억으로서 기념관의 의미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접 항미원조기념관을 방문하여 현지 관찰을 수행하였으며, 기념관이 내포하고 있는 특정한 서사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서사 이론을 활용하였으며, 기념관이 ʻ이야기ʼ하고자 하는 것과 그에따른 ʻ담화ʼ 구성은 어떠한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항미원조기념관은 한국전쟁을 통해 미국의 침략에 맞서 중국과 조선이 정당한 전쟁을 치렀으며, 이 과정에서 영웅들의 헌신적 노력과
[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의 6.25전쟁에 관한 인식 : 입남후 변화와 정책적 제언을 중심으로
...남북공동선언’, ‘10.4 남북공동선언’ 으로 남북한 사이의 적대의식을 극복하고 대화와 통일을 이룩하기 위해 한반도에서는 냉전구조를 해체하고 평화체제로의 이행을 준비해왔지만, 북한의 남한에 대한 인식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북한은 현재도 6월 25일을 ‘미제반대투쟁의 날’로 정해놓고, 평양의 ‘조국해방전쟁기념관’과 각 지방의 ‘김일성동지혁명사상연구실’에 전시한 사진 및 증거자료를 소개하며 교육하고 있으며, 전쟁이 발발한 6월 25일과 정전협정이 체결된 7월 27일을 국가적 기념일로 정하고 청년대학생, 근로자를 통한 당 및 사회단체의 집회와 성토대회를 개최하여 미국과 남한에 대한 불타는 적개심을 고취시키고 있다. 2010년 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