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전쟁 초기 전쟁 소식 전파와 대응의 커뮤니케이션
...사례연구는 한국전쟁 발발에서 북한 인민군의 서울점령 기간을 거쳐 국군과 유엔군의 서울수복까지 100여 일간 피난 가지 않았거나 가지 못했던 서울 주민들이 전쟁소식을 어떤 채널로 듣고, 어떻게 대응했는지, 그리고 전쟁 소식은 어떤 방식으로 전파되었는지 살펴보고, 그러한 뉴스접촉과 전파 및 대응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쟁발발 소식은 뉴스가치가 매우 크고 현저성이 높아 빠르게 확산되었다. 이 기간 서울주민들이 접했던 가장 중요한 소식 접촉 수단은 단파라디오와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이었다. 단파라디오를 소유한 사람들이 적었지만, 라디오로 들은 전쟁 소식은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유형으로 친지와 이웃에게 전파되고, 그 친지와 이웃이 또 다른 사람들에게 전하며 확산된 것이다. 전쟁소식에 대한 사람들의...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한국어방송’에 관한 연구
본고는 한국전쟁기에 한국인을 대상으로 선전방송을 하였던 미국의 소리(VOA) 한국어방송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다. 미국정부는 전쟁 승리, 반공 확산, 대외정책의 홍보, 미국문화의 전파라는 큰 목표 아래 VOA를 운용하였다. 특히 한국어방송은 전쟁 승리를 위한 반공 메시지의 전파를 가장 주요한 임무로 삼고, 3년 동안 매일 오전과 오후에 모두 1시간 15분 간 방송하였다. 대부분 사회적 상층이었던 한국인 청취자들이 가장 선호하였던 프로그램은 전쟁 상황과 세계 각국의 소식을 전하던 <뉴스>와 중요한 시사와 인물 등을 미국정부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설명하던 <해설>이었다. 다양한 주제와 소재로 만들었던 <특집>, 청취자를 모으기 위한 음악과 드라마 위주의 오락 프로그램이 있었다.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