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푸틴 “우크라, 현 점령지 인정땐 침공 중단”… 젤렌스키는 일축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전 협정을 맺기 위해 현재 전선을 기준으로 우크라이나 침공을 중단하겠다는 의사를 미국에 밝혔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22일 보도했다. 러시아가 2022년 9월 병합을 선언한 우크라이나 남동부 도네츠크, 루한스크, 헤르손, 자포리자 등 4개 지역 내에서 실제로 점령하지 못한 영역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포기하고 실효 지배한 곳만 영토로 만들겠다는 뜻이다. 이에 미국 또한 러시아가 2014년부터 우크라이나 남부 크림반도를 점령한 것을 인정하고 현 전선에서 국경을 동결할 것을 우크라이나 측에 제안하기로 했다.
[뉴스] 우크라 “북한군, 우크라 본토 투입될 것”
우크라이나 국가안보국 산하 정보대응센터 안드레이 코발렌코 센터장이 러시아가 북한군을 우크라이나 점령지에 투입할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코발렌코 센터장은 16일 자신의 사회관계망 텔레그램을 통해 “러시아가 러시아 군복을 입은 북한군을 우크라이나 영토에서 전투에 투입할 계획이며, 이를 헌법상 러시아 영토에서 작전 중인 것처럼 조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뉴스] 악화하는 쿠르스크 전황…우크라 점령지 국경 근처로 줄어들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휴전 방식에 대해 미국 및 전쟁 당사국들이 ‘전면 휴전’ 합의에 난항을 겪는 가운데 우크라이나가 지난해 진격했던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대부분의 점령지를 잃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뉴스] 러, 북한군-드론 앞세워 美지원 끊긴 우크라 ‘난타’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무기)와 정보(군사와 전장 관련) 지원을 중단한 뒤 러시아의 공세가 한층 가열되고 있다. 지난해 8월 우크라이나가 일부 점령한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선 북한군과 무인기(드론)를 앞세운 러시아가 점령지의 3분의 2를 탈환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러시아 밀착과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중단이 전장에서 우크라이나에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뉴스] “트럼프, 러 점령지 인정하고 우크라엔 안전보장”
24일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3년을 앞두고 양측의 중재를 시도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2기 미국 행정부가 러시아에는 현재 점령 중인 우크라이나 영토를 계속 보유하는 것을 인정해 주고, 우크라이나에는 서방의 안전 보장을 제공하는 방식의 휴전 구상을 수립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5일 보도했다. 키스 켈로그 백악관 우크라이나·러시아 특사가 14∼16일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뮌헨 안보회의’에서 동맹국에게 이 같은 종전 구상을 설명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학술논문] 북한의 남한 점령기 민간인 학살― 한국정부와 미군(KWC) 조사기록의 비교를 중심으로 ―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on the South Korean Civilian Massacre by the North Korean Army and the left wings during the North Korean Occupation of South Korea. This paper is aimed to put a valuation on the problematic issues in War Crimes Division in Korea(KWC). This study was the reference of conducted with following documents: NARA, RG 153 Records of the Office of the Judge Advocate
[학술논문] 이루어지지 못한 귀환: 소련의 귀환 정책과 사할린한인
종전 후 일본인 송환은 1946년 12월 〈소련점령지구 송환에 관한 미소간 협정(미소간협정)〉 체결 이후 소련각료회의에서 실무지침이 마련되었으나 1949년 7월에야 비로소 완료되었다. 그 이유는 적국민 송환을 통한 체제유지와 안보 확립을 위해 조속한 민간인 송환을 주장한 사할린 점령군과 생산시설 유지 및 노동력 확보 차원에서 송환을 저지하고자 한 사할린 민정국의 갈등, 그리고 양자의 대립 속에서 모호한 입장을 취한 소련 중앙정부의 태도 때문이었다. 한편 한인 귀환에 대한 검토는 탈출에 성공한 한인에 관한 해외 언론보도, 일본 규슈에 전환배치된 한인들의 진정 결과 연합국총사령부(GHQ/SCAP)가 사할린한인 규모와 귀환희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며 시작되었다. 1947년부터 이 문제가 공론화되자 골리코프를...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북한의 사회통제체제에 관한 연구
...성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한국전쟁의 특성, 즉 전시파괴, 피점령의 경험, 그리고 휴전협상의 전개를 중심으로 전시 사회통제체제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로, 한국전쟁 당시 북한지역에서 발생한 물적, 인적 피해는 애국주의 규범을 전사회적으로 강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두 번째로, 인천상륙작전 이후 연합군과 국군에 의한 피점령과 곧 이은 피점령지의 회복은 적들에게 동조한 '이적분자'들을 사회적으로 숙청하고 낙인찍음으로써 적(敵)과 아(我)를 구분하는 사회통제의 준거가 되었다. 세 번째로, 전선의 안정화 이후 2년 여간 지속된 휴전협상은 결과적으로 전시 사회통제체제가 북한사회에서 공고화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한국전쟁이 종전이 아닌 휴전의 형태로 종료됨에 따라 전시에 형성된 사회통제체제의...
[학술논문] 북송 초 宋軍의 戰術과 戰力에 관한 연구(1) -周 세종의 北漢 공략 사례를 중심으로―
...대표되는 송의 군사적 무기력증의 뿌리가 어디에 있는지를 좀 더 명확하게 밝히기 위해서는 북한의 건국, 후주 세종과 송 태종의 북한 공략을 살펴봐야 한다. 본고에서는 오대의 군사 전략에서 가장 중시한 것은 기동력과 종심돌파를 중심으로 한 야전이었음을 밝혔다. 이는 군사적 역량을 집중하여 일거에 전세를 결정지을 수 있는 장점과 함께 리스크가 큰 방식이었고, 점령지에 대한 온전한 장악도 어렵게 했다. 하지만 이 같은 군사전략이 오대 정권의 잦은 교체를 가능하게 한 요인이기도 하다. 이러한 전술전략은 신속한 이동을 가능케 하는 제반 요소, 즉 기병위주의 편성, 군수 보급능력의 완비, 협공을 위한 부대 간의 협조, 예비대의 운영 등의 조건 구비를 전제로 한다. 특히 지휘관의 결단력과 솔선수범 등은 수시로 변하는 전장...
[학위논문] 북한 마약 문제 연구 : 국가주도형 초국가적 조직범죄 특성을 중심으로
...수령독재 메커니즘은 북한의 모든 조직, 지역, 인민들에게 빈틈없이 작동되고 있다. 3절에서는 TOC와 북한체제의 특성을 바탕으로 북한 당국 주도의 마약류 밀매 및 생산을 논의할 수 있는 분석틀을 제시했다.
본 연구의 3장 1절에서는 북한 마약 문제의 역사적 기원을 살펴보고자 했다0세기 초반부터 2차 세계대전 시기까지 일본 당국은 자국의 식민지와 점령지 즉 한반도와 중국에서 마약류 생산과 밀매를 진행했다절에서는 2차 세계대전 전후 중국 공산당과 구소련의 글로벌 마약 전략이 북한에 직접적으로 끼친 영향에 대해 논의했다. 그리고 3절에서는 김정일 집권 시기부터 현재까지 북한 당국이 주민을 대상으로 한 마약류 통제 및 확산 실태에 대해 고찰했다. 이 고찰을 시도한 이유는 북한 당국이 국제사회로 밀매한 마약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