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분쟁지역 환경협력의 유형과 안정적인 남북한 접경지대 환경협력을 위한 촉진요소 연구
...
접경지대
환경
협력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그러나
접경지대
환경
협력은 공동으로 직면한 환경문제를 해결하면서 신뢰를 구축하는 평화와 환경의 교차점이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경제협력이나 문화협력 등 다른 협력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술적인 관심을 끌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분쟁지역
접경
지대에서 어떠한 조건에 따라
환경
협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쟁지역
접경지대
환경
협력은 갈등 수준과
환경
협력의 적극성 여부에 따라 전환형, 완충형, 안정형으로 구분했고, 한반도는 낮은 갈등 수준에서 수동적인
환경
협력이 진행 중인 완충형으로 파악했다. 본 연구는 적극적인
환경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전 세계에서 가장 모범적인 평화프로세스이행으로 알려진 북아일랜드와 아일랜드의
접경지대 환경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