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정보 산업과 스마트폰 -‘정보기술교류소’의 사례를 중심으로 -
...복제와 블루투스 기능을 기술적으로 제약하는 한편,
정보
기술
교류
소를 통해 IT 관련 기기 및 소프트웨어를 유통 및 판매할 수 있도록 상업망을 전국적으로 구축하여 북한 내에서도 외부세계와 다른 형태의 정보산업이 싹텄다. 이러한 의미에서 인터넷과 같은 글로벌 차원의 열린 가상공간이 개방된다면
정보
기술
교류
소는 유지가 불가능하게 되겠지만, 현재는 북한 정보산업의 중심축으로 산업에 미치는 효과가 크다. 명문대학을 졸업한 IT 엘리트와 돈주의 붉은 자본이 몰리는 신흥산업으로 육성되어 점진적으로 북한의 정보와 문화산업이 산업의 한 축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하였다. 동시에 국가 또한 정보산업의 가치를 인지하여 독점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김정은 시기 스마트폰과
정보
기술
교류
소는 모기장을 친 제한적인 정보 개혁개방의 형태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