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와 탈-달러화 도전의 전개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의 국가전략은 ‘어떻게’ 또 ‘왜’ 탈-달러화(de-dollarization) 도전으로 진화해 왔는가? 본고는 2008년 세계금융위기 이후 미국 주도의 국제금융(제재)질서에 반대하는 세력 규합의 지정학적 요인과 금융기술 인프라 혁신 요인이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의 탈-달러화 도전으로의 추세를 강화해 왔다고 주장한다. 중국은 달러의 ‘무기화’에 대응하여 한편으로는 미국의 주요 제재대상국인 러시아 등과 연합을 구축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금융기술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달러를 대체하는 위안화 수요에 새로운 점증하는 공간을 창출해 올 수 있었다. 본고는 중국의 탈-달러화 도전의 전개를 미국이 점유하는 SWIFT 국제결제시스템을
[학술논문] Public Diplomacy and Air Pollution Problem: How the U.S. Used “Beijing Air” to Advance Its Soft Power in China
This article argues that updated modeling of public diplomacy necessitates the identification and consideration of stakeholders in domestic politics, bureaucracy, and the target country’s public. The “Beijing Air” case relative to the three models of public diplomacy, namely, interest-oriented public diplomacy, influence-oriented public diplomacy, and value-oriented public diplomacy
[학술논문] 지대추구이론의 진화와 북한 정치경제에의 적용
지대추구이론(rent-seeking theory)은 신고전파 경제학의 지류인 공공선택론을 넘어, 개발경제학, 이행경제학, 권위주의(독재) 정권의 정치경제, 부패연구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정치와 경제 간의 유착관계를 유용하게 설명하는 개념 틀로서 진화해왔다. 본고는 북한 정치경제의 분석과 전망에도 지대추구이론적 관점을 채용하는것이 유용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북한 정치경제의 맥락에서 지대와 지대추구의 개념을 정의하고, 지대추구이론을 활용한 논의주제로서 시장 메커니즘 확대에 따른 지대 원천 및 지대 유형의 변화와 ‘경쟁적 지대추구’로의 지대추구 동학(動學)의 변화 그리고 지대추구의 사회후생과 경제성장에의 함의에 대해 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