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군사]
...안보·정체성·문화의 삼중 구조를 날카롭게 해부한다.
이 책은 정책학자, 언론인, 문화기획자, 대북전략 연구자들에게
‘안보를 말하는 새로운 언어’가 필요함을 보여주는 문화정치학의 필독서다.
----------------------------
“안보는 더 이상 탱크와 미사일의 숫자로 설명되지 않는다.”
『문화로 포장된 안보』는 군사와 외교의 차가운 언어로만 규정되어온 ‘안보’를, 문화와 감정, 언어와 서사의 세계로 확장해 새롭게 조명한다.
드라마 한 장면, 노래 한 구절, 뉴스의 단어 하나까지가 어떻게 국가 정체성과 대북정책을...
[정치/군사]
...창작의 본질적 추구 사이에서 그는 여전히 ‘인간 내면의 탐구자’로서의 문학적 사명을 놓지 못했다. (…) 이미 여러 차례 받은 비판을 통해 자신의 창작이 당대 문단과 충돌하고 있음을 의식하고 있었지만, 루링은 죽음과 직면한 찰나에 한 생명의 독자적 경험을 있는 그대로 기록하며 자신의 문학적 정체성을 고수했다. 80-81
작품 속 지원군의 전투 의지는 애국심과...
[학술논문] 탈북여성 이주 소설에 나타난 혼종적 정체성
...무한의 공간 속에서 펼쳐나가면서 다양한 탈영토화를 만들어낸다. 막막한 현실에서 무감각해진 윤리적결핍감으로 인한 허기, 사막이나 초원으로의 무한 공간 여행을 통해서 욕망을 생산하고 체험한다. 현실과 환영과의 혼돈은 언어를 잃어버린 정체성의 혼돈으로 이어지며, 꿈과 현실이 전도된 우화 같은 상황은 그녀를 중심에서 끊임없이 이탈하게 만든다. 리나와 같은 이주 여성의 몸은 어느 곳에도 속하지 않는 추상적 차이의공간에 놓이게 된다. 그들은 특정 영토를 벗어나 끝없이 떠도는 존재들이다. 그들의 정체성 역시, 지속적인 변화에 열려 있다. 국경을 넘는 여성들은 근대적 시간의 발전 단계로 공간적 차원에서 더 경험한다. 그럼에도 그녀들이 이곳에도 저곳에도 속하지 않는 혼종적, 혹은 ‘제3의 공간’ 에 자리하고...
[학술논문] 탈북자 정체성의 정치학 :종편에서의 ‘탈북미녀’의 등장과 ‘탈북자’ 정체성의변화를 중심으로
이 연구는 종합편성채널(이하 종편)에서 탈북여성의 재현이 탈북자 정체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탐색했다. 특히 종편에서의 ‘탈북미녀’라는 새로운 기표의 등장과 그 의미가 탈북청년과 남한청년에게 어떻게 차별적으로 수용되는지를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해서 살펴봤다. 구체적으로 홀(Hall)의 정체성의 정치학적 논의를 활용하여 남북(南北), 그리고 남녀(男女)라는 서로 다른 해독의 위치에서 ‘탈북미녀’라는 기표가 기존의 ‘탈북자’ 정체성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일부 남한청년은 종편에서의 ‘탈북미녀’의 등장을 ‘남남북녀’ 속설과 연계해 ‘남과 북’의 경계를 ‘남성과...
[학술논문] 남북한 민족주의 역사 비교연구: 민족형성의 정치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민족형성의 정치를 중심으로 본 남북한 민족주의의 역사 비교연구이다. 민족과 민족주의를 한민족(韓民族)의 역사뿐 아니라 국가와 국제정치의 장에 위치시켜서 사회적 구성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민족주의는 이데올로기, 정체성 또는 담론구성체로 파악할 수 있다. 먼저 다양한 민족주의 패러다임들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사회학 뿐 아니라 역사학과 국제정치학, 국제관계학에서 진행된 민족과 민족주의 연구를 종합했다. 둘째, ‘역사적 타자’, ‘사회적 타자’, ‘국제적 타자’가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과정을 이론적으로 정리했다. 셋째, 남한 민족주의의 역사적 흐름을 지배담론으로서의 ‘국가 민족주의’ 대 저항담론으로서의 ‘저항...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날 기념식에 나타난 기념의 문화정치학
한국 전쟁을 어떻게 인식하고 기억하는가는 한국 사회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가장중요한 사안 중 하나이다. 무엇보다 북한이탈주민은 한국 전쟁이 아직 종식되지 않았음을 방증하는 사례이다. 이들에 대한 인식과 그 처우는 한국 사회에서 줄곧 중요한이슈인데, 최근에 이르러서는 북한이탈주민의 날이 법정 기념일로 제정됨으로써 이들과 관련한 국가 정책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날이라는 기념이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가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제1회 북한이탈주민의 날 기념식을 다루는데, 구체적인 분석 대상은 기념사와 기념식 중계이다. 우선 북한이탈주민 날 기념사는 북한 및 분단 상황에 대한 기억을 재구성하면서 오늘날 대한민국의 지배 헤게모니적 가치를 강화한다...
[학위논문]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적응과 지원 대책 연구 : 경기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국 문 요 약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적응과 지원 대책 연구: 경기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정치학 박사학위 논문
대진대학교 대학원
북한학 전공
본 연구의 핵심 주제는 북한이탈청소년의 우리 사회에 대한 부적응 연구와 대책이다 연구 주제를 위하여 설정된 문제는 첫째, 북한이탈청소년의 근원적환경적절차적 부적응 원인과 유형, 둘째, 북한이탈청소년의 북한이탈이동국내 정착 과정상의 문제와 우리 사회의 인식, 그리고, 정부지자체민간단체의 제반 지원의 적절성 등이다 연구자는 이를 위하여 2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는데, 첫째, 북한이탈청소년 부적응의 일차적 원인으로 북한체제의 영향, 북한이탈 정착과정에서의 두려움 및 심신의 약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