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은 시대 심야 열병식에서 나타난 북한 권위주의 정권의 정당성 연출과 전략적 모호성
... 김정은의 신격화와 시각 효과를 극대화하며, 무기 공개 방식은전략적 모호성을 제도화한다. 본 연구는 심야 열병식을 대내적 정당성 연출과대외적 억지력 강화를 통합하는 독자적 군사 퍼포먼스로 분석하며, 이를 통해북한 열병식을 단순한 군사 이벤트가 아닌 상징적 통치 전략으로 재해석한다. 이러한 접근은 열병식의 시간성, 상징성, 전략성을 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해석틀을 제공하고, 북한 정권의 연출 전략과 향후 정책 대응에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학술논문] 임화, 레드 매카시즘의 희생양 - 간첩 혐의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
...용어는 ‘정치적 숙청’이었다. 이에 비해서 ‘레드 매카시즘’은 공산주의 국가 내에서 근거가 불분명한 이데올로기적 프레이밍을 통해서 정적을 제거하거나 정치적 이익을 얻으려고 하는 매카시즘적 수단이 사용되었음을 강조한다. 왜냐하면 미국 내 매카시즘이 허위 간첩 혐의와 이념적 낙인을 정치적 탄압 수단으로 활용한 것이라면 레드 매카시즘은 그 이념적 방향이 반공에서 반미로 전도되었을 뿐 구조적으로 매카시즘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문은 임화에게 적용된 미제 간첩 혐의의 진실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북한에서 발간된 『공판문헌』 (1956)을 면밀히 분석한 결과, 기소장과 피고 진술 간 불일치, 객관적 사실과 모순되는 증언, 그리고 정치적 의 도가 반영된 이념적...
[학위논문] 북한의 농민소설 연구 : 해방직후부터 1960년대 초까지를 중심으로
...현실과 이상, 정치와 예술 사이의 갈등을 읽어내고자 하였다.
해방 직후부터 1960년대 초까지의 북한 문학에는 않은 다양성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 시기에는 과거의 프로문학 전통과 새로 제기된 항일혁명문학 전통이 공존하였으며, 창작 방법론으로서도 민족문학론, 고상한 리얼리즘론, 비판적 리얼리즘론, 사회주의 리얼리즘론에 대한 해석과 재해석이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해방 직후부터 1960년대 초까지의 북한 문학을 실질적으로 이끌어나간 이기영, 한설야, 천세봉 등의 작가와 안함광, 한효, 엄호석, 김명수, 김헌순 등의 비평가에게 주목하였다. 이들 속에는 구 카프계 문인과 신예 작가 및 신진 비평가들이 뒤섞여 있는데, 바로 이 점 때문에 해방 직후부터...
[학위논문] 북한의 선군노선과 권위구축동학 : 정치적 계승의 위기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김정일 시대의 선군노선의 등장과정을 탈냉전과 고난의 행군 그리고 이와 중첩된 정치적 계승의 위기 속에 시도된 권위축적전략으로 재조명하고, 그 의미를 북한식 급진주의라는 개념을 통해 설명하려는 시도이다.
북한식 급진주의의 원형은 주체노선이라 할 수 있다. 1950년대의 ‘대국주의적 압력’에 대한 경험과 1960년대 소련발 탈급진화의 흐름은 북한이 나름의 방식으로 맑스레닌주의를 ‘창조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주체노선을 확립해나가는 핵심적인 계기가 되었다. 비록 소련의 수정주의와 중국의 교조주의에 대한 비판을 모두 포괄하고는 있었으나 북한의 주체노선은 급진주의에 훨씬 가까운 것이었다. 1967년의 과도기 논쟁을 통한 북한 사회 전반의 변화는 이를 잘...
[학위논문] 북한 주체사상의 형성과 변화과정에 대한 연구 - 주체사상 총서를 중심으로 -
...국가의 위기는 새로운 이데올로기를 요구한다. 교조에 의해 주형화된 틀이 국가원수 자신의 정치행동을 과도하게 제약하거나 기존의 정치행동을 정당화할 논리적 빈곤에 처하게 될 때 이데올로기적 쇄신을 단행한다. 독재자는 자신에게 집중된 권력을 이용해서 기존의 이데올로기를 재해석하는 방법을 통하여 이를 쇄신하게 된다.
이 연구는 주체사상을 중심으로 본 북한의 역사를 6단계로 구분한다. 1단계는 주체사상의 초창기, 2단계는 정립기인데 이때는 정치적으로 김일성 단독정부 시대(1945-1973)에 해당된다. 김일성이 이처럼 주체사상 정립에 몰두했던 정책의 밑바탕에는 그의 중공업 정책이 있었다. 1970년에 북한이 대남전략을 민족해방민주주의혁명에서 민족해방인민민주주의혁명으로 바꿨다. 3단계는 김일성-김정일 공동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