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국의 위안부’를 읽는 법
박유하는 『제국의 위안부』라는 저작에서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화해 전략의 일환으로 위안부에 대한 기억을 탈구축할 필요를 역설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내세운 새로운 개념이 ‘제국의 위안부’라는 것이다. 조선인 위안부는 일본군에게 단순히 ‘적의 여자’와는 다른 관계에 놓여 있었던 것으로 간주된다. 조선인 위안부는 ‘빈곤한 제국신민’ 출신이었으며, 일방적 강제동원의 대상이 아니었다. 요컨대 일본군과 조선인 위안부는 동지적 관계에 놓여 있었으며, 제국의 위안부가 전쟁의 지옥을 견디는 힘은 그들 사이의 연민과 공감에서 기원하는 것이었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그럼에도 저자가 내세우는 ‘제국의 위안부’는 위안부와 성노예 그리고 ‘강간적...
[학술논문] 일본군 성노예제에 대한 비판적 분석 - 박유하 교수의 『제국의 위안부』에 대한 논박을 중심으로
...것과 연계될 수 있다. 본 논문은 박유하의 『제국의 위안부』에 담긴 주장과 대립․논쟁하면서 일본군에 의한 성 착취의 노예적 본질을 해명하고자 시도해볼 것이다. 우선, 일본군 ‘위안부’라 불린 여성들에 대한 성적 유린은 성노예 억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왜냐하면 그 여성들은 인간이 아니라 하나의 도구, 즉 성적 욕구를 만족시켜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도구로 취급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착취는 여성의 신체와 성의 사물화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이는 강제 노역보다 더욱 가혹하고 해로우며 비인간적인 착취이다. 또한 이와 같은 성적 유린은 계약이나 여성의 동의가 아니라 군의 폭력적인 통제와 지배에 기반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일본군 ‘위안부’ 제도의 성노예적 본질을 명백히 드러내기...
[학술논문] 북조선 일본군 ‘위안부’ 재현의 정치: 젠더;트랜스내셔널;미래성의 징후들
...남한에서 일본군 ‘위안부’ 운동은 민족주의적 저항과 전시 성폭력이라는 여성주의 비판의 ‘불편한’ 결합태로 존재했다. 1990년대 4차례에 걸친 <아시아 평화와 여성의 역할> 세미나와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국제여성법정> 등은 일본군 ‘위안부’ 운동의 여성주의적 국제 연대의 결정적 분기점이었지만 운동의 민족주의적 영향력을 확인하는 계기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일본군 ‘위안부’ 운동의 국제 연대는 북조선의관련 논의와 참여를 견인하는 성과를 만들어냈다. 국제 연대의 영향으로 반제국주의와 반식민주의 민족담론을 내세웠던 북조선에서 오랫동안 비가시화된 일본군 ‘위안부’가 마침내 모습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