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한국입국 전후 삶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연구
본 연구는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한국입국 전후의 삶의 경험의 의미를 Giorogi의 현상학적 분석을 토대로 밝혔다. 그 결과 총 326개의 의미단위와 24개의 하위경험요소, 10개의 경험요소 그리고 본질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중도입국한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가 경험한 한국전후 삶의 본질적인 의미는 ‘배려받지 못하고 홀로 버티는 삶’이었다. 제 3국에서의 경험은 ‘엄마가 없는 시간의 슬픔과 상처’였으며 한국 입국과정은 ‘제 3국 가족들의 반대에도 엄마를 찾아 한국에 옴’이었다. 한국 입국 후 경험의 의미는 ‘달라진 엄마, 달라진 환경 속에서 혼란과 갈등’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반영해 본 연구는...
[학술논문]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교육 문제: 문헌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이 연구는 탈북한 부모 배경에, 이주 경험이 있고, 중국과 남한에서 맥락화 된 중첩적 특성의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교육 문제에 주목하여 이들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도모하고 존재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2016년 2월 19일까지의 언론보도자료, 국내·외 실태조사보고서, 학술논문 등 관련 모든 문헌자료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분석법을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이들을 누구로 규정하며 이들에 대한 담론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이들의 교육 현안은 무엇인지, 이들의 혼종적인 경계경험이나 특성이 한국 미래교육에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탐구하였다. 이들은 다중 경계의 접합을 드러내고 다양한 차원의 경계 와해를 촉구하는...
[학술논문] 탈북청소년의 선교적 목회
본 논문은 탈북청소년들이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과정의 문제들을 중심으로 교회의 선교적 목회를 위한 케어를 다루고 있다. 국내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은 3만명을 넘어서고 있으며, 탈북청소년도 2017년 3월로 약 3천여명에 이르고 있다. 특히 탈북청소년들은 북한출생 탈북청소년, 무연고 탈북청소년, 제3국에서 출생한 청소년,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출생 자녀들 등 다양한 배경으로 형성되고 있다. 이들의 국내 교육과정에 성공적인 적응은 한국사회의 사회문제의 예방과 미래의 통일사회 대비를 위하여 절실한 실정이다. 이를 위한 정부의 탈북청소년 지원은 웰빙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와 달리 교회는 하나님 나라의 예비된 백성이라는 입장에서 접근하고 케어 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탈북청소년들의 선교적 목회를 위한 케어 방안들을...
[학술논문]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의 현황 및 과제-교육 기관 담당자 심층 면담을 통한 실증적 분석-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ldren of North Korean escapees born in third countries and to explore future educational directions. The paper analyzes educational institutions provi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ese children and includes in-depth interviews with administrators and teachers from key institution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학술논문]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본 연구는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위한 맞춤형 한국어 교재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북한이탈주민 청소년을 지원하는 8개 기관의 행정가 및 교사 총 1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환경 분석 결과,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들은 한국 입국 당시 일반적으로 기초적인 한국어 능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학습 결손을 보완하고 검정고시를 준비하기 위해 입국 후 약 2~3년 동안 집중적인 한국어 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재 개발의 주된 대상 집단을 만 14세 이상의 청소년으로 설정하였으며, 교재 개발의 구체적인 방향으로는 (a) 자립적인 한국 생활 적응을 지원하는 교재, (b) 일반 지식 및 상식 확장을 위한 교재, (c) 교과 학습에 필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