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데탕트 시대의 “냉각지대”: 북한 외교정책의 이념과 한계(1966~1976)
...북한의 외교이념을 ‘제2이미지’ 전략으로 규정하고, 1966년 10월 조선로동당 당대표자회에서 자주노선을 선언한 이후부터1976년 8월 남북대화 단절 시기까지 연차적 순서에 따라 크게 세 시기로나누었다. 북한의 자주노선은 김일성 유일체계의 확립을 위해 미국을 위시한 자본주의 국가들에 대항하여 반제투쟁을 전개하는 것으로, 북한은이를 본격적으로 대외관계에 적용하였다. 북한은 대외정책은 국내정치와국제정치의 상호 작용 속에서 ‘안에서 밖으로’의 외연화 전략을 적극 활용하는 것으로, 국제정치의 압력을 완전히 무시하지는 않지만 국내정치요인을 절대적으로 우선함으로써 위계를 구분하였다. 실제로 북한은1970년대 데탕트 흐름에 맞추어 자본주의 국가와 제3세계 국가들과 외교관계망을 확대함으로써...
[학술논문] 1970년대 말 한국 애니메이션의 반공 이념 반영과 표현의 양상 -<똘이장군> 시리즈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제3땅굴편 똘이장군>과 <간첩 잡는 똘이장군>을 중심으로, 1970년대 말 한국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이 어떠한 시대적 배경과 문화적 환경 하에 어떠한 매체적 방식으로 ‘북한(인)’을 묘사함으로써 반공의 이념을 반영하였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1978년부터 1979년까지 1, 2편으로 제작된 <제3땅굴편 똘이장군>과 <간첩 잡는 똘이장군>은 최초의 극장용 반공 장편 애니메이션으로서, 전통적 소재로 출발하여 미래 세계와 우주 공간을 배경으로 하고 로봇 이미지와 태권도 동작을 선보이던 당시 유행작들과는 다소 다른 지점에서 기획, 제작되었다. <제3땅굴편 똘이장군>은 제작 당시 사회적으로 커다란 이슈가 되었던 북한의 남침용 땅굴을...
[학술논문] 신상옥 연출 남북한 『춘향전』 원작 영화 속 몽룡 ‘ 들 ’- 정치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캐릭터성격화’
...성춘향 > 은 이승만 정권이 붕괴한 이후 , 제 2 공화국시기에 제작되었고 , 북한에서 연출한 < 사랑 사랑 내 사랑 > 은 김일성에서 김정일로의권력 이양기에 제작되었다 . 그러한 정치사적 변화에 주목해 보면 , 몽룡의 성격화 과정에 당대 남북한 사회가 배태한 ‘ 권력자상 ’ 이 읽힌다고 할 것이다 . 먼저 < 성춘향 > 속 몽룡은 춘향의 헌신적 포용과 희생에 낭만적 순정으로 보은하는사적 연인의 이미지가 강하다 . 몽룡에게서 권력자로서의 면모를 읽는다면 , 민주적 지도자 , 혹은 조정자의 이미지를 검출할 수 있겠다 . 반면 , < 사랑 사랑 내 사랑 > 속 몽룡은 계급혁명을 완수하는 영웅적 권력자의 이미지가 강하다 . 민중의 열망을 수렴해 애민선처의 정신을...
[학술논문] 김정은 후계 계승의 문화기획으로서 예술영화 ‘백옥’ 연구
이 글은 2009년에 제작 방영된 예술영화 <백옥> 분석에 목적이 있다. 예술영화 <백옥>은 오진우의 생애 마지막을 배경으로 한 2부작 영화이다. 이 글에서 주목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 제목의 상징성이다. <백옥>은 인민무력부장이자 김정일의 후견인으로 알려진 오진우의 생애 마지막 시기를 배경으로 한 영화이다. 최고지도자에 대한 충성을 강조한 인물을 소재로 한 영화 제작은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다만 영화 제목인 ‘백옥’은 영화 제작 이후 북한의 방송언론을 통해 ‘백옥같은 충정’이라는 새로운 상용구로 활용되고 있다. 북한의 방송 언론을 통해 충정의 표상으로 자림하고 있는 ‘백옥’의 원형이 바로 영화...
[학술논문] 주한미군 사드(THAAD) 배치 결정에 대한 북한의 보도행태 및 전략적 함의: 『로동신문』과 『우리민족끼리』기사를 중심으로
...함의를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한미 양국이 사드 배치 논의를 공식적으로 시작한 2016년 2월 7일부터 북한이 제5차 핵실험을 감행한 9월 9일까지 『로동신문』과 『우리민족끼리』에 보도된 사드 배치 관련 기사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확인된 사드 배치에 대한 북한의 주된 보도 내용 및 그 전략적 함의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북한은 한국 내 사드 반대여론을 대대적으로 보도함으로써, 한미 양국의 사드 배치 결정이 부당하다는 인식을 퍼뜨리고자 하고 있다. 둘째, 북한은 중국과 러시아의 사드 반대 의견을 적극적으로 보도함으로써, 국내적으로 고립국가로서의 이미지를 탈피하며, 동시에 사드에 대한 자신들의 반대를 정당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셋째, 북한은 사드 배치의 목적이 미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