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20년대 후반~1930년대 초반 함경남도 갑산 지역의 항일운동
...항일운동은 타격을 받고 위축되었다. 갑산의 항일운동은 위장활동을 통한 조직 유지에 중점을 두게 되었다. 이 시기에 박달과 박금철은 야학과 강습회를 열고 군수물자로 이용되는 아마재배 반대 등의 활동을 펼쳤나갔다. 박달과 박금철이 조직한 항일단체인 갑산공작위원회는 1930년대 중반 한만 국경지대에서 구축된 항일통일전선에 참여하기로 결정하였다. 이 통일전선은
제
7
차
코민테른의 결정에 따라 조직된 조국광복회였다. 조국광복회는 파시즘에 반대하는 인민전선의 성격을 띤 항일조직이었으나 프랑스의 인민전선처럼 노동자가 중심이 아니라 농민이 중심이었다. 한편, 박달과 박금철 등 소수의 인원으로 구성된 비밀결사의 특징은 지도부와 조직원들이 각각 연결되는 폐쇄적이고 단절된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극도로 보안을 유지한 채, 조직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