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6ㆍ25전쟁시기 한국군의 식량보급 실태 - 다부동지역 전투를 중심으로 -
본 논문은 6.25전쟁초기 가장 치열했던 다부동 지역에서 전투를 수행한 국군 제1사단의 식량지원 실태를 연구한 것이다. 이를 통해 당시 한국군의 군수보급체계와 식량보급체계의 혼란 과정에서 발생한 전투현장의 실태를 밝히는 것이다. 당시 농민이 생산한 양곡은 농림부에서 금련을 통해 수매하고, 국방부에서 청구하여 보급창에서 수령하여 사용부대에 보급하고 있었다. 이러한 양곡은 인원을 기준으로 하여 소요량을 하급부대에서 상급부대로 청구하였고, 수령은 상급부대에서 하급부대로 보급하는 방식이었다. 국군은 개전당시 충분한 양의 양곡을 보관하고 있었다. 하지만 초기 철수작전의 실패로 인해 많은 양의 양곡을 망실하여 차후작전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다부동 지역에서 1사단의 군수보급계획은 미흡하였고 더구나 북한군이 1사단의 보급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