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제 말 평양시가지계획의 실시와 공간구조 변화
본 논문은 일제 말기 조선총독부가 추진한 평양시가지계획의 수립과실행 과정을 통해 평양의 도시 공간구조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고찰한다. 평양은 개항 이후 선교 거점도시에서 공업도시로, 그리고 현재는 북한의 수도로 기능하고 있으며, 이 같은 변화는 일제강점기 도시계획의 영향을 깊이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1934년 제정된 조선시가지계획령이후 평양에 적용된 시가지계획의 수립 배경과 행정구역 확장, 가로망 정비, 토지구획정리사업, 공업·주택용지 조성계획의 수립과 중단 과정까지를 사료에 기반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총독부 관보와 평양시가지계획 관련 문서, 당시 신문자료 등을 바탕으로, 시가지계획 구역의 설정과 이에 따른 교통망 구축, 주택지 및 공업지 배치, 인구밀도 완화 전략 등을 구체적으로 추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