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의 한국문학사 저술 현황과 한국현대문학사 서술 양상
...인해 촉발된 현실로서, 중국에서 집필된 한국문학사를 분석하기 위한 인식의 전제가 되는 사안들이다. 이러한 점이 전제되지 않고 국내적 시각으로만 중국의 한국문학사를 평가한다면 여러 가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중국에서 저술된 주요 한국현대문학사를 살펴보았다. 중국의 한국문학사 가운데 한국현대문학사를 대상으로 다루고 있는 경우는 총 9종이며, 오늘날 중국의 교육현장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한국문학사 연구 성과로 평가되는 김병민(1994)의 『조선문학사: 근현대부분』, 김병민 외(2004)의 『조선·한국당대문학사』, 윤윤진 외(2008)의 『한국문학사』, 김영금(2009)의『한국문학간사』와 『조선·한국문학사』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사 서술 양상을...
[학술논문] 허문섭, 『조선고전문학사』(1985)와이암 외, 『조선문학통사』(2010)의 거리
...『조선고전문학사』(1985)는 출간 이후 많은 대학에서 주교재로 채택되면서 초창기 한국문학사 교육과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점을 제공하였다. 이후 1990년대부터는 한중 수교를 계기로 남한에서의 연구 성과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남북한 사이의 균형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최근에는 자체 내의 축적된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동아시아적 상호 관계성을 추구하며 나름의 독자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엿보인다. 이암 외, 『조선문학통사』(2010)는 현 단계에서 중국의 한국문학 연구 수준을 집대성한 대표적인 업적으로 알려져 있다. 두 문학사는 시기별로 서두에 일반적인 개황을 제시하고 대표 장르의 동향과 주요 작가 및 작품을 다루는 방식으로, 중국의 문학사가 채택하고 있는 일반적인 체제를 따르고 있다. 『조선고전문학사』는...
[학술논문] 통일 담론과 남북한 문학사 소통방안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북한문학은 언젠가는 재통합될 한반도 이북의 우리 민족의 문학이니 이념 차이 때문에 무조건 배제할 수는 없다. 북한문학도 문학이며 ‘우리문학’이기에, 궁극적인 통합을 위해서 원래 하나였던 것이 해방 직후 분단된 과정을 천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백철의『조선신문학사조사』, 조연현의『한국 현대문학사』, 한효의 .현대조선문학사조』, 안함광의『조선문학사 1900~』, 과학원 문학연구실의『조선문학통사』(하) 등을비교하였다. 그 결과 남북 학자들이 자기중심으로 현대문학사를 전유하고 상대를 배제하는‘뺄셈의 서술’을 통해, 자기 체제의 역사적 정통성을 확보하려 했음을 알았다. 나중에 승리한자가 이미 존재했던 역사적 실상을 왜곡, 재편하는 것이 공식 역사 기술의 당연지사겠지만...
[학술논문] 중국에서 저술된 한국근현대문학사의 문화횡단적 실천 - 남한문학사ㆍ북한문학사ㆍ자국문학사라는 세 겹의 프리즘-
... 자국문학사와 비교하여 서술 양상을 살핌으로써, 이들 텍스트에 나타난 문화횡단적 실천을 살피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중국에서 저술된 한국문학사는 약 25종이며, 이 가운데 한국근현대문학사는 약 16종이다. 저술 목적으로 볼 때, 연구용 문학사보다는 교재용 문학사가 압도적으로 많다. 시각과 서술내용으로 볼때, 남한문학사를 수용한 경우와 북한문학사를 수용한 경우 그리고 남북문학사를 함께 수용한 경우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의 대표적인 텍스트를 선정하여 그인식과 서술 양상을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 중국문학사와 비교한 후, 의미의 이동과 생성의 지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문학사 인식과 서술에 있어서몇 가지 의미 있는 전언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우리의 근현대문학사는 서양문학의 영향만을 강조함으로써 중국문학의...
[학술논문] 일본 ‘한국문학사’에서의 한국고전문학사 인식과 서술양상
본 연구는 일본에서 저술된 한국고전문학사를 중심으로 일본문학사와 남북한 문학사와의 문화횡단적 양상을 살핌으로써 한국문학사에 대한 인식과 서술양상을 규명하고자 했다. 그 분석대상은 일본인과 재일조선인을 대상으로 일본어판 『조선문학사』를 저술한 김동욱과 변재수이다. 일본문학과의 비교문학적 관점인 김동욱의 『조선문학사』(1974)와 재일조총련계로서 사회주의적 관점에서 저술한 변재수의 『조선문학사』(1985)는 자국문학사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과 인식이 서로 달랐다. 이것은 무엇보다 분단체제로 인한 남북한의 문학사가 이질적으로 전개되는 현실에서 그들의 『조선문학사』는 남북문학사의 균열상을 담아내고 있다. 하지만 그 한편으로 한문문학의 가치와 향가, 한글창제, 그리고 판소리의 독자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으며, 한국문학으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