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한민국 민족 서사시: 종족적 민족주의의 전개와 그 다양한 얼굴
...종족의 관점에서 종족의식을 재구성하면서 네이션/민족을 설명하는 민족주의를 ʻ종족적 민족주의ʼ로 정의하며 이러한 논점에서 대한민국의 종족적 민족주의의 전개과정과 그 다양한 얼굴을 계보학적으로 탐색한다.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한국사회의 단일민족의 신화는 신채호 등 구한말 민족주의자들이 한민족의 종족적 순수성과 영속성을 내세우며 일제의 종족적, 인종적 식민주의에 대항하기 위해 주조해 낸 정치적 산물이었다. 종족적 순수성을 통해 만들어진 한민족의 통합 이데올로기는 종족 이념을 통해 타자화되는 상수의 적이 필요했고 이러한 이항대립의 이데올로기는 종족적 순수성과 통일로 응축되는 종족의식을 재구성하며 발전해 왔다. 식민유산으로부터 비롯된 종족적 민족주의는 해방이후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정권의 반공주의를 통해 북한을...
[학술논문] 김대중·노무현 정부와 이명박·박근혜 정부 (1998~2017) 간 대북정책 변화와 결정요인
...그리고 민족주의 이론을 활용하여, 김대중·노무현정부와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을 살펴보고, 국제정치 및 민족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정부별 대북 인식의 차이를 도출하였다. 김대중·노무현 정부는 기능주의 및 신기능주의 시각에서 출발하며, 종족적·문화적민족주의와 보편가치와 결합한 민족주의를 추구하였다. 따라서 북한을 단일민족이자 동반자로 인식하며, 민족주의 통일담론과 보편가치 통일담론이 주를 이룬다. 이에 따라 김대중·노무현 정부는 북한과 화해·협력을 추구하는 대북정책을 시행하였다. 이명박·박근혜 정부는 신현실주의의 시각을 가지며 종족적·문화적 민족주의와정치체제 중심 민족주의가 결합한...
[학술논문] 역사 교과서 논쟁과 뉴라이트의 역사인식
...할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국가주의 역사학이란 ‘일제하 민족 개량주의자들의 종족적, 문화적 민족주의를 계승하고 미국의 근대화론을 도입하여 극우반공정권의 역사적 정통성을 강화하고 국가 주도로 추진하는 종속적인 자본주의 산업화에 기여하는 역사인식체계를 수립하려는 역사학’을 일컫는다. 이윤갑, 「한국 역사학의 새로운 길 찾기: 민족주의 역사학의 전망」 『한국학논집』35, 2007, p.29. 그들이 지향하는 바는 명백하다.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근대적 문명의 핵심적 요소들을 수용하고 확산시키는 데 북한은 실패하고 남한만이 성공했고, 따라서 북한이 선택한 내재적․자립적 근대화 노선을 지향하는 민중적 민족주의 역사학의 한국근현대사 인식은 부정되어야 하고 대신 남한이 선택한 종속적 근대화 노선을...
[학술논문] 외국인 이주자, 북한이탈주민, 그리고다문화에 대한 포섭과 배제 : 민족주의, 문명우월주의, 선진국 담론의 검증을 중심으로
민족주의, 문명우월주의, 그리고 선진국 담론은 한국 사회에서외국인 이주자에 대한 포섭과 배제를 설명하는 주요한 담론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 연구는 외국인 이주자와 북한이탈주민에대한 적대감과 수용, 그리고 다문화정책의 지지와 다문화 수용방법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어느 담론의 설명력이 가장 적절한지를 각 담론에서 주장하는 주요 변인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비교 검증한 것이다. 분석을 위해 2013년에 조사가 실시된 한국종합사회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민족주의는 종족적 민족주의와 시민적 민족주의로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종족적 민족주의는 외국인 이주자 적대감을 높이고 외국인 이주자 수용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과 다문화 관련 변인에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시민적 민족주의는 외국인 이주자에...
[학술논문] ‘북한동포’는 누구인가? : 대통령 연설문(1948-2017)을 통해 본 시민적·종족적 북한동포관의 경합
...의미 변화를 추적하고, 그 특징을 시민적·종족적 북한동포관이라는 계발적 개념을 활용해 설명한다. 역대 대통령 연설문에는 이 두 북한동포관이 착종되어 나타나는데, 시기별로 그 양상이 달랐다. 북한동포가 혈연적 민족공동체의 일원이라는 의미에서 기본적으로 종족적 시각이 전제되지만, 1950-1960년대에는 시민적 민족의 성격이 강조되었으며 1970년-1980년대에는 종족적 성격이 강조되었다. 1990년대 이후에는 보수와 진보 정권에서 서로 다른 관점이 발견되지만, 다른 한편으로 양자 모두에서 북한동포가 주변화되어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동포가 종족적 성격을 전제로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위상 하락은 새로운 성격의 민족주의가 부상하면서 전통적인 종족적 성격의 민족주의가 쇠퇴한 결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