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전쟁시기 월북 종손의 종통 승계와 조상 되기-안동지역 혈연공동체의 세 종가 사례-
...역할은 종손의 동생 혹은 장자가 대행하였다. 월북 종손이 남한에 부재하는 시기에 종손의 가족관계와 종손 동생의 가족관계에는 상당한 혼란이 발생하였다. 문중에서는 월북 종손의
종통을 인정하는 가운데 종손 월북으로 인한 공백을 그 장자나 동생을 시켜 메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했고;차세대의 종손이 정당하게 종손의 지위를 승계하여 종가와 문중 운영을 정상화하는 것이 중요했다. 왜냐하면;월북 종손의 경우 ‘종가와 종손 분리형’으로
종통 승계가 이루어졌고;이것은 오늘날 종손의 경우처럼 ‘종가와 종손 일체형’
종통으로 환원하는 과정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1980년대 후반에 월북 종손의 사망 사실이 확인된 후에 그 영혼을 남한에 있는 종가 사당이나 무덤에 모시는 형식을 취했으니;월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