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박정희 대통령의 자주국방사상과 현대적 함의
이 글의 목적은 1960년대 말부터 추진된 박정희 대통령의 자주국방을 사상적 측면에서 고찰해 보는 것이다.기존연구와 비교하여 이 글이 독창성을 갖는것은 연구방법 측면에서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에서 제공하는 박정희 대통령의 연설문을 분석하였기 때문이다.일반적으로 연설문은 대통령이 국가정책을 대내외에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것으로,대통령 본인의 사상과 신념,국정철학이 잘 나타나 있다. 1968년부터 박정희 대통령이 추구한 자주국방 목표는 북한의 국지적 도발에대한 한국의 독자적 방위능력을 갖추는 것이었다.이에 따라 1968년 후반부터휴전선 내 북한군 예상 침투로 방어력을 보강하고,대간첩작전에 필요한 군사원조 요청 및 지휘체계를 일원화하였다. 1970년대부터 닉슨독트린으로 인한 주한미군철수,중국의 유엔가입 등으로국제정세가
[학술논문] 박정희 대통령시기(1968~1972) 자주국방 측면에서 바라본 통합군 추진의 배경과 과정
박정희 대통령 시기(1968∼1972) 자주국방을 목표로 추진된 여러 정책들 중 지금까지 깊이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은 군 지휘구조 개편이었다. 그 이유는 실제적인 결과물이 없었고, 이 문제를 육군중심의 자군이기주의라는 관점으로만 접근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군사제도는 단순히 집단의 이익에 따라 변화되는 것이 아니라 국가전략이나 군사정책에 따라 변화되는 것이다. 때문에 군 지휘구조 개편에 관한 문제는 군사사적인 관점에서 배경과 과정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통해서만 올바른 접근이 가능하다. 연구자의 분석결과, 당시 추진되었던 군 지휘구조 개편은 북한의 증가하는 군사적 위협과 도발, 「닉슨독트린」과 중국의 유엔가입 등 국제정세 변화에 따라 추진된 자주국방의 한 분야였다. 더욱이 당시 군 지휘구조가 갖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