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반도 서해상 발생한 남북한분쟁에 대한 중국의 입장: 중국동포신문의 보도프레임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한반도 서해상 발생한 남북한분쟁에 대한 중국동포신문의 보도프레임 연구이다. 연구목적은 첫째, 서해상 발생한 남북한분쟁에 대한 보도 프레임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중국동포신문들의 보도프레임 차이점이 무엇인지 비교해 보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중국동포신문의 보도프레임 분석을 통해 중국의 대한반도 서해분쟁에 대한 입장은 무엇인지 구명해 보는 것이다. 연구결과 중국 동포신문에 보도된 남북한 서해상 분쟁에 대한 보도프레임은 주로 갈등프레임과 동북아질서와 대국의 역할프레임 중심으로 보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중국이 서해상 발생한 남북한 간의 갈등을 두 가지로 구분 대응하는 입장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즉, 하나는 갈등의 정도가 일반적이고 확대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판단되면, 남북한...
[학술논문] 조선족 동포의 신문 읽기에 나타나는 어휘 양상 분석 중국의 한글 신문을 중심으로
... 양상을 띠는 중국 조선어 어휘 사용 양상을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어휘 사용과 표기에 있어서 중국 조선어의 신어휘를 사용하는 경우,한국어 어휘 의미와 다른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 한국어 저빈도 어휘를 사용하는 경우, 북한의 조선어 어휘를 사용하는 경우 등으로 구분하였다. 또한중국 조선어 내의 외래어는 복수로 표기하거나 한국어 표기법과 전혀 다른외래어 표기를 하고 있는 것도 따로 분류하였다. 먼저 중국 조선어의 신어휘를 사용하는 경우는 의미를 추론하여 알 수있는 어휘와 의미를 추론할 수는 있으나 그 의미가 모호한 경우, 의미 예측이전혀 불가능하여 문맥적으로도 의미 해석이 불가능한 어휘로 구분할 수있다. 둘째 한국어 어휘 의미와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는 한국어의 어휘조선족 동포의 신문 읽기에 나타나는...
[학술논문] 중국 재외동포 언론의 남한과 북한 보도 프레임 연구: 보도량, 정보원, 보도 분야, 보도 논조 분석을 중심으로
...재외동포연구, 재외동포 연구의 일부로서 ‘미디어’ 연구, 재외동포 언론의 남북한정보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중국 재외동포 언론에 나타난 남북한 정보를 보도량, 정보원, 보도 분야, 보도 논조를 중심으로비교하고, 이를 통해 재외동포가 인식하는 두 개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 주요 이슈, 관점의 차이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첫째, 북한보다 남한의 보도량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나 남한에 대한 높은 관심 혹은 남한에서의 조선족 생활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원의 경우는, 중국 신문 정보원이 높게나타나 중국 정부의 성급 신문에 대한 통제를 알 수 있었으며, 남북한언론을 정보원으로 하기보다는 외신을 정보원으로 하여 뉴스의 보도보다는 간접적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