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내외자기업법제의 변화와 북한의 추동
북한과 중국은 사회적.지리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양국은 모두 사회주의국가지만 경제체제에 있어서 북한은 계획경제체제를 중국은 시장경제체제를 채택하고 있다. 양국의 내외자기업법제를 비교한 결과 연혁적.구조적으로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혁적으로 시기의 차이는 있지만 발전과정, 기업의 종류 및 법제의 체계적 측면에서 유사하다. 최근 중국은 지속적으로 회사법을 개정했으며 내외자법제의 통일적 구축을 위해 관련 법제의 정비를 진행하고 있다. 북한 역시 중국의 변화에 추동되리라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에게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한다. 첫째, 한국의 입장에서는 북한 내외자기업법제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한 근거로서 중국기업법제에 대한 지속적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학술논문] 북한의 외국인 투자법제 현황과 과제-중국의 외국인투자법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북한의 외국인투자 관련 법제를 살펴보고 북한이 경제발전의 모델로 삼고 있는 중국이외국 자본의 유치를 위해 2020년 1월 1일부터 시행예정인 외국인투자법과 비교함으로써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그 전제가 되는 문제들로서 북한의 외국투자법제의체계와 정비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북한의 외국투자법제가 어떤 과정을 거쳐 변천되었는지를 전체적으로 조망해보고, 향후 과제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북한의 외국인투자법제 환경을 살펴보고, 중국의 외국인투자법의 체계와 비교하는 것은 북한의 체제전환과정에서 안정적인 법통합의 토대를 마련하고 통일한국의 외국인투자법제 통합을 대비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특히 중국의 외자 3법의 통합 성격의 법제인 외국인투자법을 모델로 하여 북한 개혁개방의 본보기로 삼아 외국인 투자법제에...
[학술논문] 포스트 코로나시대 한중의 북한에 대한 투자와 협력
...강한 생명력을 나타냈다.2016년에는 미국;러시아;유럽;아세안 등 주변국의 한반도 평화통일을 적극 지지하는 반응을 표시했다. 한국은 적극적 북한의 대화와 협력을 추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북한은 외국인투자를 위한 여러 법규와 제도를 제·개정하여 외자 유치를위한 법적 환경을 마련하고자 노력해왔다. 2018년까지는 27개 통상외국투자법;9개 경제특구 및 남북경협관련 특구나 지대법 등을 총98개나 된다. 중국은대외 개방 수준을 더욱 높일 것이고;한국을 포함한 세계 경제와의 관계도 더욱 긴밀해질 것이다. Covid-19 장기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전 세계를 강타하고있고;남북한 모두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맞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포스트코로나시대에 남중의 제3국의 투자와 남북중의 협력을 더욱더 중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