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안보환경 변화와 제1차 7개년계획 (1961~67)
...남북관계, 그리고 북한의 정치경제의 상호작용과 연동을 함께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제1차 5개년계획의 성공에 자신감을 얻은 조선로동당은 1957년부터 전면적 사회주의 공업화를 목표로 한 제2차 5개년계획 입안에 착수하였다. 그러나 1960년 남한에서 4
・19혁명이 발생하자 평화적 통일의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판단한 조선로동당은 인민생활 수준에서 확고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제2차 5개년계획을 소비재 생산에 중점을 둔 7개년계획으로 수정하였다. 1961년 남한에서는 5
・16쿠데타가 발발하였고, 쿠데타 세력의 반공적 성격을 인지한 조선로동당은 내부적으로 7개년계획의 시행을 연기하고 국방력 강화에 매진할 것을 결정하였다. 이와 같은 방침은 1962년 12월 경제국방병진노선의 채택으로 공식화되는데, 여기에는 중소분쟁과 쿠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