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정보 산업과 스마트폰 -‘정보기술교류소’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이 연구는 김정은 시기 스마트폰의 등장과 함께 전국적으로 보급·확산된 정보기술교류소에 주목하여 다양한 사례연구를 토대로 북한 정보산업의 등장과 이에 따른 사회적·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기술교류소는 인민의 정보 욕구와 당국의 정보통제 사이에 절충된 형태로 발전하며, 북한 특색의 정보 유통 장치로 등장·확산되었다. 즉, 북한은 가상의 공간을 접속하는 내부 인트라넷조차 통제하는 특수한 방식으로 정보를 제한하면서도 동시에 산업 측면에서는 경제적 효과를 노리는 제한적 개혁을 추진하였다. 주민은 외부세계에 대한 호기심과 정보 욕구에 의해 이동식 저장매체나 블루투스 기능을 활용하여 동영상과 소프트웨어를 개발·복제·확산시켰다. 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