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분석] 국제사회의 다자 ODA 추진 현황과 북한 지원의 정책과제
...따르면, 최근 ODA 규모가 증가하고 다자협력 주체가 점차 다원화되고 있으며, 국제기구를 통한 특정 목적 사업의
지정기여(earmarked funding)가 확대되는 추세임. - 2017년 기준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회원국의 다자원조규모는 416억 달러로 전체 ODA의 28.3% 수준이나,
지정기여 방식(15.4%)을 포함해서 국제기구를 활용해 지원하는 다자협력규모는 43.7%를 차지하고 있음. - 우리나라의 2017년 다자협력 규모는 총 8억 600만 달러(2017년 기준)로, 다자원조가 5억 8,633만 달러(26.6%),
지정기여 방식의 다자성 양자원조가 2억 1,967만 달러(10.0%)임. - 전체 ODA 지원액의 37%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