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50~60년대 북한의 민족 악기 개량과 민족 관현악 편성
...발견하고 그 차이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반면 천리마운동 후에는 이전 시기의 성과를 바탕으로 악기의 재료를 보완하고 사라진 전통악기를 복원하며, 새로운 악기와 그 악기들로 연주하는 새로운 민족 관현악을 만드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1960년대 북한에서 논의되었던 민족관현악 편성은 주선율을 연주할
찰
현악기를 선택하는 문제와 금관악기군의 보완, 그리고 음역대별 악기군의 구축으로 정리할 수 있다. 민족관현악에서도 풍부한 음량, 극성(劇性)이 강한 음색을 얻기 위해 많은 수의 악기를 다양한 방법으로 편성하였으며, 이러한 대민족관현악편성은 1970년대로 이어졌다. 1970년대에는 이동이 편하고 빠른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해금을 주선율악기로 한 악기편성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