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 산 · 학 · 관 협력체제(D.I.K. 모델)를 중심으로
... 만든 것이 D.I.K. 모델이다. 정부 공공기관(KAMCO)과 금융권(IBK) 및 교육기관(DanKook)이 연계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창업교육 및 창업사업화와 창업 실패 시 재도전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모델의 핵심은 북한이탈주민의 창업 현장에 맞는 사업계획 수립 및 창업 사업화이다. 창업교육, 창업 인큐베이팅, 창업자금 지원, 창업 실패 시 재도전을 일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D.I.K. 모델을 통한 북한이탈주민 창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북한이탈주민 맞춤형 창업 지식공유 사업 추진, 북한이탈주민 창업 멘토단 구성 및 인큐베이터 설치, 북한이탈주민 창업 특화자금 지원 제도 마련, 북한이탈주민 창업 실패시 재도전 지원 등의 정책이 뒷받침돼야 할 것이다.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벤처창업 성향이 남한사회 적응성과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북한이탈주민은 1990년대 중반이후 북한경제가 붕괴되자 북한을 이탈하여 중국 등 제3국을 거쳐 한국에 입국하였다. 3개월의 정착교육을 이수하고 거주하는 지역에서 생활하면서 의사소통 곤란, 가치관과 정체성의 혼란 및 문화의 차이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의 벤처창업 성향에 따른 사회적응성 및 가족건강성 회복을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북한이탈주민의 벤처창업 성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중 부부중심, 한 부모 및 1인 가족 45명을 대상으로 1:1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질 향상 및 성공적인 남한 정착을 위한 4가지 정책적 대안을 도출하였다.
[학술논문] 통일 이후 뷰티 프로보노(Pro bono)를 통한 나눔 문화 활성화 방안
...이를 바탕으로 통일 이후 북한 국민을 위한 남한의 뷰티를 나누는 나눔 문화 활성화를 목적으로 재능기부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프로보노(Pro bono)를 통한 남, 북간 나눔 문화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나눔 문화와 프로보노의 개념을 이해하여 프로보노 활동에 대한 다양한 사례 분석하였다. 실증적 연구로는 통일 이후 프로보노를 통한 나눔 문화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기부 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프로보노 방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통일 이후 뷰티 프로보노를 통한 나눔 문화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복지, 창업, 교육의 세 영역의 분야로 세분화 하여 뷰티 평생교육 프로그램, 뷰티 마이스터 고등학교, 뷰티 창업 교육의 프로보노 활동을 제시하였다.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창업 개인특성과 창업동기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낮은 소득수준과 전문성 부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창업지원을 위해서 정책과 제도개선 방안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인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동기와 창업교육도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적응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 중 위험감수성향과 창업경험이 사회적응과의 상호작용과 창업동기와 사회적응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의 효율적인 창업지원 정착을 위해서는 창업자의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창업교육이 필요하며, 창업동기와 위험감수성향과 사회적응 정도에 따라 창업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학술논문] 개성공단은 新성장동력의 거점이 될 수 있을 것인가?
...전략을 제시하는데 논점을 둘 것이다. 개성공단의 재개를 전제로 성공적인 운영과 활성화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주요 추진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ICT교육・교류를 통한 4차 산업혁명 기반 구축, 둘째,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탄소제로 클러스터 조성, 셋째, 창업 및 스타트업의 거점으로 육성, 넷째, 스마트 물류시스템 선도 클러스터 육성, 다섯째, 배후도시 광역권 개발을 통한 시너지 추구이다. 개성공단이 성공적으로 회복하고 글로벌 산업과 교역의 거점으로 성장하게 되면 그로 인한 혜택은 직접적으로 북측 근로자에게 귀속될 것이다. 근로자의 임금인상, 교육수준 증가, 기술력과 노동생산성 향상 등 성공모델을 북한 내에 그대로 확산시켜야 한다. 제 2, 3의 개성공단을 계속 공급하여 북한 경제 전반의 회생을 돕고...